Researching MIS - 1999
Researching MIS, Allen S. Lee, Rethiking MIS, Oxford Pub., 1999
--
MIS 연구를 접근하는 방법으로서 positivism은 98% 이상을 나타낼 정도로 연구의 대부분을 찾이하고 있다.
한쪽으로의 편식은 분명 문제가 발생한다.
MIS연구에 있어 Interpretativism은 새로운 이론을 만들어내고 실제 현실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연구방법이다.
--
MIS의 4가지 상호연관 영역
- IT instantiation
: Organizational & political process
: Managing, maintaining, changing information
- IS & Its Organizational Context
: Either enhancing existing theory or building new theory regarding the management of information systems in organizations”(Zmud,1995)
- Intellectual Technology
: Information Technology as Intellectual Technology, as opposed of Industrial Technology
- Corporate function
: Behavioral scientists want to avoid “Hawthorne effect”, but MIS researchers want it.
연구를 위한 2가지 구조화된 입장 : Positivism(실증주의)와 Interpretativism(해석주의)
- Positivism : Natural Science Research Model
: 3 Interrelated logic
- Rules of formal logic
- Rules of experimental & quasi-experimental design
- Rules of hypothetico-deductive logic
1. Rules of formal logic : Rule of mathematics & rule of formal logic
Logical consistency을 위한 툴.
이론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꼭 필요하지만 이론을 만들어낼 수는 없다.
이론은 logical 한 것과 함께 empirical해야 한다.
2. Rules of experimental & quasi-experimental design
Proposition이 어떻게 real-world와 관련이 있는가에 관한 rule
Issue of how to ‘operationalize’ a measure
Issue for an excellent treatment
Experiments을 통해 variable들 간의 empirical test.
3. Rules of hypothetico-deductive logic (가설연역법)
Induction - 반복되는 증명이 필요. 이론을 일반화하는 데 유용
Deduction - 이론을 검증하고 justification하는 데는 기여
따라서 natural science model에서는 research logic으로는 deductive logic을 사용하도록 !
이론의 Justification - Proposition ⇒ prediction ⇒ conclusion 을 검증 ⇒ conclusion의 true/false를 찾음.
⇒다른 실험환경, 조건에서도 검증 (falsifiable, testable, refutable)
이론의 일반화 - experimental test를 다양하게 많이 함으로써
- Interpretativism
: Explicit recognition to the ‘life world’ (e.g. ethnography, participant observation)
Mutual understanding
Hermeneutics approach : Reading human behavior
- CST view
Researcher가 단순히 observer, onlooker가 아니라 researcher 자신이 social & technological system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또 영향을 받기 때문에, Researcher는 사회의 부적합하고 불공정한 condition을 비평을 해야 할 의무가 있다.
CST에서 말하는 neo-humanism의 철학은 유토피아적이고 실현이 불가능하다
- Action Research (Baskerville, 1995)
CST처럼 많은 attention은 없지만 MIS research를 positivism과 interpretativism science가 아닌, architecture같은 profession에서의 연구가 되어야 한다는 관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