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 Theory]Capturing the complexity in advanced technology use: Adaptive Structuration Theory
Capturing the
complexity in advanced technology use: Adaptive Structuration Theory
DeSanctis, G.
& Poole, M. S.. 1994. Organization Science. 5(2). pp. 121-147
Structural descriptor |
Definition |
Spirit |
The general intent of the technology as it is presented to the
user. It is reflected i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
Features |
Specific types of capabilities, rules, and resources offered
by or associated with the structures. |
Dimensions |
An aspect or characteristic of a structure that reflects a
bundled set of features implemented in a particular context. |
[적합 구조화 이론]
- 조직내 그룹이 사회적 체계(Social System)를 만들고 유지해가는 구조화(Structuration)과정이
핵심이다.
1) 사회적 체계란 사회적 엔터티(Social Entity)로서의 그룹이 사회적 서열과 같은 관련 패턴을 찾는 것이며 구조(Structure)는 이러한 체계를 생성하고 지원하는 규칙(Rule)이나
자원(Resource)을 말한다. 그룹에 도입된 다양한 구조는
대부분이 수용가능한 방식으로 그룹에 의해 전유(Appropriate)된다.
2) 전유란 구성원들이 기술의
구조와 직무에 얼마큼 적합되어 있는가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이 전유의 기본 개념.
3) 구성원들은 기술을 사용하면서
구조적 특징뿐만 아니라 많은 가능한 자원들을 적극적으로 선택해 갈 수 있다. 전유는 이렇게 구성원들이
기술의 구조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 기술을 포함한 구조를 어떻게 선택하며 바꾸어 갈 것인지를 적극적으로
선택해 가는 과정이다.
4) 전유는 상호작용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구조를 생성, 재생성함으로서 그룹 구성원들이 구조에 적응하는, 기술 사용의 서로 다른 방식을 말하며, 전유의 이러한 과정을 구조화라고
말한다.
[적합 구조화 모델의 명제]
1) 신기술의 구조적 특징(Structural features)과 정신(Spirit)의 관점이
혼합되어 기술을 사용하는 그룹의 사회적 구조를 만들어 가고, 신기술을 확정하여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
- 구조적 특징 : 기술로 인해 갖게 되는
규칙과 자원, 역량의 구체적인 형태를 말하며, 이는 구성원들에게
의미(meaning)과 통제(Control)을 제공함
- 정신(Spirit) : 주어진 기술의
구조적 특징 밑에 깔려 있는, 구성원의 가치와 목적과 관련된 일반적인 의도(Intent)를 말함. 시스템을 사용할 때 어떻게 행동하려 하는가, 시스템의 구조적 특징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와 관련된 개념.
2) 업무(Task) 와 조직환경(organization environment)그리고
그룹의 내부체계(Group’s internal system)에 따라 사회적 상호작용이 다양하게 나타난다는
것.
- 업무(Task) : 업무와 관련된 데이터와
지식, 규칙을 말하고
- 조직 환경 : 조직, 사회로부터 나오는 행위에 대한 사회적 지식이나 사회적규칙을 말함
- 그룹 내부체계 : 그룹의 상호작용 형태, 지식과 경험의 정도, 다른 구성원이 기술 사용을 수용한다고 믿는
정도, 전유에 동의하는 정도
3)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과로
나온 기술, 업무, 조직환경적 사회구조의 결과물은 또 다른
새로운 구조로서 사회적 상호작용 과정에 적용됨
- 기술의 결과물 :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얻게 된 데이터나 텍스트, 혹은 다른 절차들을 말함
- 업무의 결과물 : 업무 데이터나 업무를
수행한 결과를 말함
- 환경의 결과물 : 환경으로부터 나오는
지식이나 규칙을 적용한 결과
4) 그룹 상호작용을 통해 이끌어낸 규칙과 자원은 새로운 사회적 구조로서 주어진 상황과
시간에 적합해야 한다. 그룹의사결정 과정은 신기술을 전유하는 과정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즉, 업무와 적합(Fit)되어서
바람직한 결과를 초래한다.
Majchrzak et al(2000)는 사용자들이 기술 적합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모순된 사건(Discrepant Event)를 겪으면서 정신뿐 만 아니라 기존의 모든 구조들을
바꾸어 가면서 조정 상태에 이른다고 주장함.
à 기술 적합 과정을 통해 구성원들이
기술을 업무에 적용하며 진화한다는 것을 의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