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자료 출처] http://cafe.naver.com/bikecity/137724




알루미늄합금 [aluminium alloy]

- 사실 알루미늄 합금은 스틸재질에 비교하여 그강성이 상당히 낮은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지름이 큰 튜브를 사용하여 그강도를 보강하였으며 열처리 및 용접방법을 개선하여 보다 튼튼한 소재로 거듭나게 되었습니다. MTB 및 사이클에 가장많이 사용되는 알미늄합금은 6000번대와 7000번으로 자전거부품 스펙중 6061 또는 7075같은 표기를 보았을 것입니다. 이는 순수한 알미늄에 다른 금속을 섞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6061이라는 소재는 마그네슘 + 실리콘 +구리+크롬 을 혼합한 알루미늄 합금이며 7075소재는 구리 + 크롬 + 아연 + 마그네슘 이 섞인 합금입니다. 6061합금은 가공성이 좋아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제작에 유리하며 7075 합금은 강도는 좋은 반면가공성형이 어렵기 때문에 하드테일과 같은 간단한 프레임에 많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가공된 알루미늄 프레임은 열처리를 통해 보다 강한 프레임으로 거듭날 수 있습니다.
보통 6061 T6 라는 명칭을 볼 수 있는데 여기서 T6란 열처리를 어떤 과정으로 했는가를 알려주는 표시입니다. 알루미늄 합금은 다른 소재의 프레임에 비해 가격대비가 가장 좋으며 도색 및 가공성이 용이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프레임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카본 [carbon]

- 카본 이라는 말은 주위에서도 많이 들어 보셨을 것입니다. 카본은 탄소 섬유를 여러겹 쌓아 접착제 또는 강한 압력을 가하여 제작하는 제품입니다. 카본은 성형재료에 따라 팬 , 피치 , 레이온 3가지로 분류되는데 자전거에 사용되는 것은 팬계열의 소재로서 다른 소재보다 만들기 쉬우며 가격이 저렴한 편입니다. 카본 프레임을 사용한 자전거를 보면 대부분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며 디자인된 것이 많습니다. 이것은 프레임의 제작과정에 있어 그많큼 자유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프레임을 성형하는 과정은 먼저 일반 천과 같은 형태의 카본섬유를 여러 겹을 쌓아 1차 성형한뒤미리 제작된 틀에 원하는 강도만큼의 재료를 넣은 후 강한 열과 압력을 가해 프레임을 찍어 내는것입니다. 카본 프레임은 알루미늄 프레임보다 가볍고 강한 것이 사질이지만 한계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찢어지는 형태로 파손됩니다. 카본 소재 프레임의 장점은 탄성이 매우좋아 승차감이 좋다는것과 타소재에 비해 가벼운 편이며 무엇보다 다양한곡선의 디자인으로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티타늄 [titanium]

- 티타늄 프레임은 여러소재의 장점을 두루 갖춘 소재로 볼 수 있습니다. 가볍고 튼튼하며 부식되지 않기 때문에 그 수명이 긴 것이 장점이지만 소재의 특성상 대량으로 생산하지 못합니다. 순수한 티타늄은 강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다른 소재와 섞어 합금으로 만들어야 하며 제작과정이 복잡합니다. 그러나 이렇게 성형된 티타늄 프레임은 알루미늄 프레임보다 약 15%더 강합니다. 최근에는 여러 브랜드에서 비교적 저렴한 가격의 티타늄 프레임을 생산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그 가격대가 다른 소재의 자전거와 비교하여 높은 것이 사실입니다.



- 자전거의 구동부품은 여러가지가 있으며 제작회사도 여러 회사가 존재합니다.
대표적인 회사를 꼽으라면 시마노[Shimano] , 스램[SRAM] , 캄파놀로 [Campagnolo]등 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여러분들께서도 익히 들어보셨을 '시마노'사 와 '스램'사의 부품과 등급체계를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시마노 드라이브 트레인 부품군은 총 10가지 등급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먼저 XTR , SAINT, XT , HONE , LX , Deore 까지 9단 시스템으로 나뉘며
Alivio , Acera , Altus , Tourney 는 7 , 8단 시스템으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SAINT , HONE 은 새롭게 추가된 부품군으로서 프리 라이딩및 높은 내구성을 요구하는 자전거에 적합하게 디자인 되었으며 가장 최근에 추가된 HONE 은 ALL-Mountain 개념으로 SAINT 보다 낮은 등급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Deore ~ XTR까지의 9단 시스템은 대부분의 자전거에서 체택 되고 있으며 Alivio 이하 부품군은 입문용 자전거및 일반 생활 자전거에 많이 사용되는 부품군입니다.




시마노 XTR 2002

- XTR등급은 시마노 MTB등급중 최고급 등급으로 자리잡고 있는 부품입니다. 강하고 , 보다 가볍움을 모토로 디자인된 XTR은 2003년에 풀모델 체인지 되어 새로운 모습으로 태어나게 되었습니다.
좌측은 모델이 변경되기전 2002년 까지 생산된 XTR의 사진입니다.
새롭게 변경된 모델의 가장큰 변화는 브레이크 레버를 통해 변속과 브레이크를 동시에 작동할 수있는 '듀얼 콘트롤 레버' 와 'HOLLOWTECH 2'를 적용한 크랭크를 들 수 있습니다. 크랭크는 B.B와 일체형이 되어 보다 가벼워지고 B.B베어링의 위치가 변경되어 강성이 더욱 높아졌습니다.

XTR부품은 주로 최고급형 자전거에 장착되는 부품으로 시마노사에서 제시한 등급으로는 프로 레이서용 으로 명시 되어 있습니다.




세인트는 프리라이딩 , 다운힐 , BMX 등 강도 높은 부품이 필요한 자전거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시마노의 새로운 부품 군입니다. 할로우텍2 크랭크와 유압디스크 브레이크 강도 높은 허브등 시마노의 사로운 기술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세인트 부품군은 허브 , 크랭크셋 , 디스크 켈리퍼 , 뒤변속기 로 구성되어 있으며 좀더 높은 강도를 원하는 부분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있습니다.




04년 새롭게 업그레이드된 XT 부품군은 XTR 못지않는 디자인과 성능을 갖고 있습니다. 할로우텍2 크랭크와 일체형 B.B , 좀더 견고해진 앞,뒤 변속기를 들 수있습니다. 또한 림 브레이크의 고질적인 문제인 진동현상을 현저히 개선한 브레이크암을 들 수 있겠군요. XT는 MTB 전체라인에서2번째 등급으로 볼 수 있으며 주로 상위기종에 많이 사용되는 부품입니다.




세인트이후 새롭게 등장한 HONE은 All-Mountain 을 목표로 설계된 부품입니다. 주로 프리라이딩 과 과격한 xc를 중점으로 제작되었습니다.
특별한 점은 세인트 뒤변속기처럼 뒤허브에 직접 장착되는 변속기를 들 수 있습니다. 이것은 보다 튼튼하고 변속시 부드럽고 정확한 변속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05년형 LX부품군 또한 XTR의 기술을 채택하였 습니다.
듀얼콘트롤 레버 , 할로우텍2 크랭크 , 일체형 B.B , 센터락 기술이 사용된 앞, 뒤허브 등 전체적으로 풀체인지 되었습니다. 하지만 브레이크암은 페러럴 푸쉬방싱에서 일반 적인 방식으로 다운 그레이드 되었습니다. 이는 기존의 Deore모델과 같은 모양으로 볼 수 있습니다.






데오레 부품은 9단 시스템의 최하위 부품이며 입문용 자전거또는 초급자 자전거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모델체인지가 전혀 없는 등급이지만 가장 기본적인 9단 부품으로서 유압 디스크 브레이크및 기계식 디스크 브레이크를 갖춘 입문용 등급의 부품입니다.








- 알리비오는 시마노 8단 부품군중 가장 상위급모델 입니다. 주로 저가형 입문 모델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데오레 또는 아세라 급과 같이 사용됩니다.

- 아세라 는 알리비오 다음 등급의 부품이지만 알리비오와 같이 사용되는 입문등급의 부품입니다. 8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간혹 고가형 일반 자전거에도 사용되는 부품입니다.






- 알터스 는 7단또는 8단 에 적용할 수 있는 부품군으로 저가형 입문모델에 사용되는 부품군입니다.

- 터니 부품군은 일반자전거에 많이 사용되는 부품군으로 다소 고가형 일반 자전거에 많이 사용되는 부품입니다. 7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가 레인지라는 커다란 스프라켓을 사용하기도합니다.



- 스램은 자전거부품중 브레이크레버 , 변속레버 , 앞,뒤 변속기 , 카세트 , 체인을 생산하는 업체입니다. 또한 락샥[Rock Shox] , 어비드[Avid] 등 굴지의 대기업을 합병한 회사이기도 합니다.
스램의 부품군은 주로 앞 , 뒤 변속기와 변속레버를 생산합니다.

- 스램의 부품군중 가장 최상위급인 XO 시리즈는 티타늄과 가벼운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 하였습니다. 뒷변속기의 경우 무게가 약 210g 가량 나가며 실드베어링 을사용한 풀리가 장착되었 습니다. 또한 1:1 변속방식을 채택하여 변속을 매우 빠르게 할 수 있는것이 장점입니다.





- X.9 는 새로운기술 임펄스 테크놀로지(Impulse technology)를 사용한 변속레버 를 선보였습니다. 시마노 제품과 같은 트리거 방식의 변속 레버로서 엄지 손가락만으로 변속가능한 제품입니다.



- X.7 또한 X.9와 같은 트리거 방식의 변속 레버를 사용 하였으며 무게와 성능을 개량한 1:1 방식의 리어 드레일러 내놓았습니다.



- 스램의 1:1 방식의 변속 레버는 시마노의 2:1 방식에 비해 변속속도가 빠르며 정확합니다. 시마노 제품과는 호환되지 않으며 1:1방식의 스램 부품과 호환됩니다.


- 트위스터 변속레버는 흔히 일반자전거에 많이 사용하는 제품으로 알기쉬운데 사실은 스램의 제품을 벤치마킹하여 만든 제품입니다. 트위스터 변속레버의 장점은 신속한 변속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 시마노 뒤변속기와 호환되는 신형 트리거 변속
기와 트위스터 변속기입니다. 신속하고 정확한
변속이 가능하며 잔고장이 없는것이 특징입니다.


- 어택모델 역시 시마노 뒤변속기와 호환되며 신속한 변속이 가능합니다.



- 자전거의 서스펜션 포크와 리어샥은 여러회사에서 다양한 등급의 제품으로 생산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작 방식에따라 또는 소제에 따라 가격과 등급이 정해집니다. 국내 수입되고 있는 서스펜션 의 제작 업체중 대표적인 회사는 Manitou , RockShox , Marzocchi 를 꼽을 수 있습니다.
이제 세회사의 대표적인 몇몇 모델을 기준으로 어떤등급의 서스펜션이 있는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스펜션 포크는 이젠 기본적으로 장착되는 부품중 하나입니다. 서스펜션 포크가 개발되기 전에는 일반 리지드포크를 사용하였기에 라이더는 앞바퀴에서 오는 충격을 그대로 받아야만 했습니다. 서프펜션의 포크는 그충격을 흡수 하기위해 세가지의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중 가장많이 쓰이는 것이 코일 스프링입니다.
코일 스프링은 서스펜션 의 내부구조를 심플하게 만들 수 있으며 비교적 가격이 저렴합니다. 그리고 롱 트레블의 서스펜션 포크를 쉽게 제작할 수 있으며 어떠한 지형이든 상관없이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코일 스프링의 소제는 일반적으로 강철이 가장많이 사용되며 티타늄같은 고강도 합금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스프링은 대부분 포크의 한쪽 레그에 장착되며 다운힐 같이 과다한 충격을 흡수 해야하는 포크의 경우 양쪽 레그 모두 장착되기도 합니다. 스프링을 사용하는 포크의 경우 라이더의 몸무게에 맞는 스프링을 사용해야만 포크의 제기능을 발휘 할 수 있기때문에 각회사 모델별로 강, 중 , 약 정도의 옵션 스프링이 발매되기도 합니다.


RockShox
Manitou
Marzocchi
PIKE
JUDY
BLACK
SHERMAN
ALL MOUNTAIN I
MXComp

위 모델들은 코일 스프링을 적용한 모델로서 크로스컨트리및 프리라이딩에 많이 사용되는 포크들입니다. 앞서 설명 드렸다시피 코일 스프링은 다향한 충격에 적응 할 수있는 스프링으로 크로스컨트리 , 프리라이딩 , 다운힐 등 다양한 성격의 자전거에 모두 사용됩니다.


에어 스프링은 우리가 흔히 접할 수 있는 주사기를 떠올 리시면 됩니다. 주사기의 끝을 막고 피스톤을 밀게되면 내부의 공기가 압축되고 피스톤을 놓게되면 압축된 공기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되돌아가게 됩니다. 에어 스프링또한 같은 원리 입니다. 에어스프링은 코일 스프링보다 가벼운 구조를 갖고 있기때문에 경량 서스펜션 포크를 제작하는데 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압축된 에어를 세지않게 하는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비용상승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에어 스프링이 적용된 포크들은 주로 크로스컨트리및 가벼운 프리라이딩 포크에 많이 사용됩니다. 그러나 에어 스프링은 실린더의 길이를 길게 제작할 수 없기때문에 다운힐 과 같은 포크에는 사용하지 않는것이 대부분 입니다.

케논데일 페티 포크 에어 실린더

RockShox
Manitou
Marzocchi
SID TEAM
Skereb
Marathon

에어 스프링의 장점중 또하나는 라이더의 몸무게에 맞게 강략을 조절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기때문에 코일 스프링처럼 자신의 몸에 맞는 스프링을 번거롭게 교체하지 않아도 됩니다. 에어스프링 포크들은 대략 1.2kg ~ 1.5Kg 으로 주로 크로스 컨트리 또는 가벼운 자전거를 꾸미고자 하시는 분들께서 많이 선호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에어 스프링 포크는 높은 가격으로 인해 고가의 자전거에 장착되거나 업 그레이드를 고려하시는 분들께서 선택하고 있습니다.

엘라스토머[elastomer]는 일종의 고탄성 물체로서 압력이 가해져 수축된후 그압력이 사라지면 즉시 원상태로 되돌아가는 성질이 있습니다. 엘라스토머는 주로 저가형의 포크에 적용되며 이러한 포크들은 일반 코일 스프링과는 달리 압축후 반동이 심하지 않기때문에 비용 상승을 위해서라도 별도의 댐핑장치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엘라스토머는 가볍고 저렴하지만 압축과 수축의 반복으로인해 서서히 그수명이 다하게되어 마지막에는 딱딱하게 경화 됩니다.

RockShox
JUDY TT

Manitou
SIX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