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Value&Knowledge-Strategy]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 M.Porter & Davenport
생존전략가 2007. 9. 7. 17:54From blog.naver.com
http://blog.naver.com/smoker3/30000191514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1. BPR 정의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은 1990 년대 초 미국에서 제창한 개념으로서, 사업활동을 영위하는 조직의 측면에 있어, 작업을 개선하고 자원의 사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하여, 하나의 목적으로 처음부터 다시 근본적인 변화를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BPR은 업무 프로세스의 근본적인 재고(再考)가 수반되며, 원가, 서비스품질, 직원들의 활력 등과 같은 중대한 지표들이나 또는 그 모두를 강화하기 위한 업무활동의 재설계로 이어진다. 일반적으로 BPR 의 개념에는 데이터를 조직화하고,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컴퓨터나 정보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포함된다. BPR 의 제안자 해머(Hammer)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재구축 활동을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기업의 핵심 부문에서 비용, 품질, 서비스, 스피드와 같은 요인의 획기적인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프로세스를 근간으로 비즈니스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여 극적인 성과를 추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2. BPR에 대한 인식 전환
BPR 이란 정보시스템의 가치를 높이고, 품질을 개선하고, 비용을 감소시키며, 경쟁회사에 대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데이타의 흐름이 끊어졌거나, 부적절하거나, 중복되거나, 정보처리의 병목현상이나 에러를 유발시키는 업무를 찾아내어 업무재설계를 통하여 새로운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려면 몇 가지 인식의 전환이 있어야 한다.
- 현업업무를 부서중심에서 프로세스 중심으로 업무파악이 되어야 한다.
- 업무분석, 설계는 절차중심에서 데이타 중심으로 개발하여야 한다.
- 개발기간이 구현보다는 업무분석, 설계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
- 미시적 변화보다는 거시적 변화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
- 새로운 기술, 신기술 등을 최대한 이용하여 현업의 업무효율화와 개발의 생산성향상을 위해 참여자 각자가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여야 한다.
- 개인의 능력보다는 팀웍이 중요하므로 참여자는 각자 대인관계가 원만해야
- BPR 은 업무를 단순히 신속하게 하려는 것이 아니라 업무방법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정보기술을 사용하는 것이다.
3. BPR의 4가지 근간
Fundamental(기본적인)
먼저 기업이 무엇을 해야 할지를 결정하고, 그 다음 그것을 어떻게 할지를 결정한다.
리엔지니어링에서는 아무것도 당연한 것으로 여기지 않는다. 리엔지니어링에서는 ‘지금 있는’것을 무시하고, ‘반드시 있어야 할’ 것에 집중한다.
Radical(근본적인)
리엔지니어링에서 근본적인 재설계는 현존하는 모든 구조와 절차를 버리고, 완전히
새로운 업무처리 방법을 만들어 내는 것을 의미한다. 리엔지니어링은 업무를 개선시키거나 향상시키거나 또는 변경시키는 것이 아니라 다시 만들?내는 것이다.
Dramatic(극적인)
리엔지니어링은 오직 확실한 개혁이 필요할 때에만 사용해야 한다. 점진적인 개선은
미세 조정을 필요로 하지만, 극적인 개선은 낡은 것을 날려 버리고 새로운 어떤 것으로 대체 해야만 이룰 수 있다.
Processes(프로세스)
대부분의 기업인들은 ‘프로세스 지향적’이지 않다. 그들은 프로세스가 아니라 과업, 직무, 사람, 구조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리엔지니어링에서는, 업무 프로세스를 ‘하나 이상의 입력(input)을 받아들여 고객에게 가치 있는 결과(output)를 산출하는 행동들의 집합’으로 정의한다.
4. BPR의 8대 원칙
① 사업 목적의 이해 : 장기적인 전략에 집중, 고객 서비스를 강조, 시간에 기초한 관리를 활용
② 타산지석: 다른 산업으로부터의 교훈 : Benchmarking 기법의 적극 활용과 다른 산업과의 유사성 파악
③ 불필요한 업무 제거 : 전체 프로세스 중 가치를 부가하는 활동 이외의 모든 활동은 제거하여야 한다.
④ 낭비 제거! 품질 최우선 ! : 최초에 일을 제대로 처리하여 검사, 확인 활동의 비용을 제거
⑤ 패러다임 제거 : 우리의 사고를 제약하는 것들로부터의 해방
상식에 문제는 없는가? ( 매일 하던 방식을 무시하라, 성역은 없다)
⑥ 흰 코끼리 제거 : 성숙화되는 활동들은 부가가치가 적으며 외부하청이 경제적이다.
⑦ 작업자에게 권한을 : 산출을 기준으로 한 조직, 권한과 책임의 대응, 권한과 책임의 하부 위양
⑧ 변화 관리 : BPR 의 가장 큰 적은 변화에 대한 조직의 저항
5.BPR의 미래
6 시그마와 Total Quality Management (TQM)는 가끔 BPR과 혼동되는 개념이다. 모두 변화 주도의 개념들이지만 BPR과 가장 큰 차이점은 BPR은 근본적으로 '빅 뱅' 변화에 중심을 두고 있다. 하지만 6 시그마와 TQM은 연속성과 점진적인 개선에 중심을 두고 있다. BPR을 개선하기 위해서 Business Process Management (BPM)으로 대체된다. BPM은 종업원들을 위하여 재구성되고 재분석되고 새롭게 이름 붙여진 개선된 BPR이다.
---
Davenport는 5단계 BPR 접근모델을 설정했다.
1. 비즈니스 비젼과 프로세스 목적을 개발하라.
2. 재설계하려고 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명확하게 인식하라.
3. 현재 존재하는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측정하라.
4. IT수준을 설정하고 명확하게 하라.
5. 새로운 프로세스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 디자인하라.
---
Michael Eugene Porter is an American academic focused on management and economics. He has made important contributions to strategic management and strategy theory,[citation needed] Porter's main academic objectives focus on how a firm or a region can build a competitive advantage and develop competitive strategy.
Porter's strategic system consists primarily of:
5 forces analysis
strategic groups (also called strategic sets)
the value chain
the generic strategies of cost leadership, product differentiation, and focus
the market positioning strategies of variety based, needs based, and access based market positions.
Porter's clusters of competence for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 Total
- Today
- Yesterday
- 책읽기
- 교육
- 사회연결망
- Social Network Service
- 투자
- 경영전략
- SNS
- M&A
- 와인
- 주식
- 펀드
- 등산
- Final Exam
- 사상의학
- ant
- 프로젝트관리
- 조직
- 영어표현
- 주식투자
- 프로젝트 관리
- 태음인
- 경영
- HR
- social network
- 구본형
- 공모전
- IS theory
- 논문
- 영어
- ETF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