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Management in the 1980’s, H.J. Leavitt and T.L. Whisler, Harvard Business Review, November-December 1958

--
1958년 그 당시의 시대상은 어땠을까?? 한국의 1958년은 폐허가 되어버린 수도와 밥한끼 먹으려고, 어떻게든 살아보려고 발버둥쳤던 그런 시대였다.그런 1958년 Leavitt과 Whisler는 HBR에 IT(정보기술)이라는 단어를 처음사용하고 새로운 기술에 의해 미래를 예측하고 있다.

1980년 대략 20여년이후의 세상은 어떻게 변해있을가??

논문에서는 조직에서의 Top Managemnt(경영층)과 Middle Management(중간관리층)이 IT에 의해 어떻게 변화를 가져올지를 논하고 있다.

IT에 의해서 경영층은 더욱 창조적이고 중요한 의사결정 역할을 수행하는 집중화 경향이 강하게 작용하고 중간관리층의 역할은 축소된다고 보고 있다. 즉, 대다수의 업무는 프로그래밍화 되어 사라질수 밖에 없다는 없다는 전형적인 기술기반적 사고라고 볼수 있다.

2008년 현재 기업의 경영층과 중간관리층을 보면 어떤가??
과거에 비해 기업의 의사결정은 IT에 의해 더많은 도움을 받고 대부분의 업무와 프로세스는 프로그램밍되어 있다. 그러나, 경영층의 역할을 중간관리층이 더욱 많이 하고 있지 않은가?

기업의 조직구조에 IT영향을 한방향(제거)으로만 흐른다고 볼수없다는 증거이며, 실제로 IT에 의해 중간관리층, 경영층의 의사결정의 복잡성(정보의 양)이 더 늘어나거나 적시성(On Time)의 중요성이 늘어나기만 하고 있다.

또한, 조직구조가 획일적으로 집중화(Centralized)혹은 수평적(Decentralized)되었다고 볼 만한 경우가 많지 않다. 즉 기업의 경영전략에 따라 IT가 카멜로온과 같이 활용되고 전략적 도구로서 중요성이 부각되어 지면서 조직에 적절하게 사용되어 진다고 볼수 있다.

앞으로 20년후 2028년의 IT에 의한 Management의 변화는 어떻게 되어 있을까? 분명한건 우리 삶속에서 IT는 더이상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는 점이다.

Warren.pak
--
새로운 Technology  즉 Information Technology가 중 대기업의 경영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특히 최고경영층과 중간 관리자에게 미치는 큰  영향을 준다는 점을 강조한다.

미래의 징후들 
1) 일상적인 일은 프로그램되어지고 중간관리자의 수준이 크게 구조화 될 것이다. 
2) 대기업(조직)은 더욱 집중화가 촉진될 것이다. 경영진은 더 혁신적, 계획적, 창조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3) 중간관리자는 빠르게 재조직되어 점차 그 역할이 축소될 것이다.
4) 기업에서 경영진의 역할은 명확하게 구체화되어 가게 될것이다.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통해 IT는 발전되어 왔다. 1차적으로 사회학자들과 전자 공학을 전공하는 전문가 그룹에 의해해 발전되어 왔다.( Engineer Development, Cybernetics, Info.Theory, Game Theory, Operation Research  Social Psychology)

새로운 기술 - 그 특별한 특성들
   1)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SM) 와2차 세계대전후 참여적 관리(PM) (decentralization, morale, human relation ) 과 같은 Industrial technology와 구별된다
   2) SM은 시간근로자 대상인데 반해 PM은 중간관리자 대상으로 대립되는 것은 아님-  IT는 중간관리자와 Top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빠른게 확산.
    -  IT가 Centralization이 용이하기 때문
    -  Top mgmt.의 다양한 문제에 대해 지능적으로 대응하도록 해 준다
    -  IT가 더 많은 일을 가능하게 해서 중간관리자의 수가 줄어든다.
    -  중간관리층의 일이 routinized programs화 되고 반발이 예견된다.

조직이 규모나 전문성에 있어서 커지게 되면 Control고 integration의 문제가 발생하고 IT가 여러가지 문제의 risk를 제거함으로써 해답을 줄 수 있다

-  모든 중간관리자 일이 IT로 인해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니고 다음 3가지 기준으로 Program화가 가속되어 진다
     1) Ease of measurement -  Quantitative measurement
     2) Economic Pressure
     3) The Acceptability of programming by the present jobholder

- Two classes of middle jobs should move upward toward deprogramedness
     1) 프로그래머와 Info. Engineers - Top 의 Staff 역할 수행         
     2) Job in research & development – innovation & creativity

- Mid. Mgmt의 많은 부분은 프로그램화 된 상태로 되고 적은 부분이 더 창의적인 사고를 요구하게 된다
- 프로그램화에 대한 idea는 인간관계의 문제가 제기 된다
      - morale verses productivity
      - Conformity
      - Individualism
         
Changes at the Top
  - The top will focus more intensively on problems of innovation and change
  - The programmer will move upward close to top (applied researcher)
  - Innovators and programmers will need to be supplemented by ‘committors’
  - Coordinators
  - More abstract, more search-and-research oriented and less involved in the
     making of  routine decisions
 
 Radical changes in certain administrative practices 
      1)  multiple entry points into the organization
      2)  training institutions outside the firm specializing
      3)  Apprenticeship as basis for training managers
      4)  Top Mgmt. training by universities with OJT
      5)  Evaluation by peers
      6)  precise appraisal of new middle managers
      7)  New Compensation practice – team bonu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