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Can the Field of MIS be Disciplined?, Banville & Landry, CACM, 1/1989, Vo.32, No.1, pp.48-60

--

MIS가 학과가 될수 있을까? 당연히 되어야 한다. (MUST be Yes) 그리고 학문분야다. (It is disciplined)

그러나 현실적으로 MIS의 다양성은 학문분야라는 사실을 쉽게 확정짖기 어려운점이 존재한다.
 

일반적인 학문적 발전과정은 쿤의 패러다임 이론에 의해 설명된다.
쿤은 축적된 과학적 사실과 영향이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게 된다는 사실을 직시하고 과학적 혁신은 누적된 축척에 의한 혁신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즉, 어느날 갑자기 된진 않는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쿤의 패러다임 이론은 매우 수용가능한 모델이고 대다수 사회현상과 이론적 틀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MIS 영역또한 패러다임 이론은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MIS영역을 학문분야로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쿤의 이론만으로 설명하기는 어려움이 있다. 반면 휘슬리는 Reputational Systems을 통해서 학문 분야를 7개로 구분하고 MIS 영역을 Fragmented Adhocracy 라고 정의하고 있다.


현재 상태에 머무르면 학문분야로 지속하기 어렵다는 고민하에 Paritioned Bureaucracy으로 MIS를 재위치 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휘슬리의 모델을 통해서 Keen(1980)이 고민했던 MIS Disciplines에 대한 고민의 연장선상에 있다.

-      Clarification of reference disciplines

-      Definition of the dependent variable

-      Building of a cumulative tradition

-      Solution in MIS & practice, technology

-      Development of prestigious MIS journals


그러기 위해서 Strategic Dependence을 높여서 구성원들간의 Study Network을 높여야 하고 Strategic Task Uncertainty를 높이기 위해서 연구목표와 문제 그리고 표준의 강한 통제를 만들어 가야 한다. (실증연구와 이론적 틀을 만들어라) 그렇다 하더라도 Fuctional Dependence를 낮춰 RD를 계속 하고 연구의 다양성은 지속적으로 확대해야 한다.
--
Can the Field of MIS be Disciplined?

       as a scientific field based on an inappropriate monistic view, the Kuhnian Model

 


  1. Pre-Paradigm : 패러다임 성립 이전의 시기로, 다양한 의견이 나타나고 그 분야의 주제를 만들어가는 단계(학문적, 실증적 축적단계)
  2. Normal Science 패러다임이 만들어지고, 이 시기에는  업적(Solution)과 문제해결능력을 누적함.
  3. Crisis : anomalies(변칙사례 : 패러다임에 반하는 결과들) 이 서서히 축적된 패러다임은 위기를 맞게됨
  4. Scientific Revolution : 기존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부정하고 이를 대체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출현하는 급격한 변화를 의미
  5. (New) Normal Science : Crisis속 에서 인정받고 승리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자리를 잡은 시기

    Kuhn의 모델은 One Way로 이루어지는 사고적 틀을 보여줌.

       The Kuhnian Model as Revisited by Kuhn

ü  “Disciplinary Matrix”, instead of “Paradigm” :  Paradigm의 개념을 버리고 “disciplinary matrix”란 새로운 개념으로 대체. ( Symbolic generalizations, Common beliefs and models, Shared values, Exemplars and other elements)

 

       Ambiguity of Kuhn’s Conception of Progress

ü  “Seeing is believing” à very restricted type of progress

ü  Science may progress better without neat blueprints, detailed road maps and central planning.

       The Importance of the Concept of Scientific Community

 

The Sciences as Intellectual Fields : Whitley’s Model

       Field as Reputational Systems (Kuhn의 모델에 반하여, Whitleyreputational system이라는 개념과 세 개의 classificatory scheme에 기반한 대안 모델을 제시)

ü  A structure organizing and controlling research, standards

ü  Colleague-competitors : equilibrium between innovation and conformity

       Presentation of Whitely’s Model

ü  Intellectual Field : “social contexts in which scientists develop distinctive competences and research skills”

 

Classificatory Scheme

Definition

MIS

Functional dependence

a measure of the technical & procedural coherence

Low

Strategic dependence

a measure of political dependence of members

Low

Strategic task uncertainty

a measure of  the conceptual coherence

High

 

ü   Functional Dependence : 연구분야의 기술적, 절차적 일치 정도연구 툴, 절차, 결과 해석의 표준화에 중점

ü  Strategic Dependence : 연구분야 구성원들 간의 정치적 의존도로 표현, 조정,통제, 갈등에 중점

ü  Strategic task uncertainty : 연구자들이 연구 목표, 연구 문제, 표준의 강한 통제에 따르는 경우, Strategic task uncertainty 이 낮고, 그 반대의 경우 STU가 높다고 할 수 있다


1. Polycentric oilgarchy : German Psychology
2. Polycentric Profession : Experimental Physiology
3. Paritioned Bureaucracy : Business Finace
4. Conceptually integrated Bureaucracy : Physics : 쿤이 언급한 Normal Science의 전형
5. Fragmented Adhocracy : MIS : 위틀리의 관점. Academic researchmanagerial action에 차이가 있고, 연구 ideaapproach가 분리되어있음. , management problemscientific method를 적용한 것이 잘못된 것 임을 보여줌.
6. Profession Adhocracy : AI
7. Technologically Integrated Bureaucracy : Chemistry
 

       MIS as a Fragmented Adhocracy

       Contextual Factors applied to MIS

ü  Influence of Practitioners

ü  Analytical Standards

ü  Creating other prestigious MIS Journals

 

- 위틀리가 ‘fragmented adhocracy’의 주요 특징


- Research가 다소 개인적이고 field내에서의 조화를 이루고 있지 못함
- Field가 교육받은 대중이나 아마추어 연구자들에게 크게 오픈되어있어 중요한 field의 표준에 영향을 미칠수 있음 
- Reputaion이 변하기 쉽고, resource의 통제가 불안정하고, 상식적 언어로 communication system이 구성됨

-  MIS field : discipline으로서의 핵심 목적(central object)에 관한 정의가 다양하고 Researcher’s contribution이 주로 new tech에 따라 주도되기 때문에 R.D 가 낮고, 여러 연구 영역에서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의견일치를 보기 어렵기 때문에 S.T.U가 높다.

Theoretical base – theorymethod간에 적절히 매칭이 되지 않고, IS development methodology에 모두 동의하지 못한다는 측면에 있어서 F.D도 낮다.  또한 Fragment의 의미에 있어서, ‘weak barriers to entry’, 사례에서처럼 4주 반 기간동안 qualification to teach and research 를 준다는 프로그램이 있었던 것처럼 학문으로서의 그 바운더리가 매우 약하게 여겨지고 있음.
-
  MISClassification과 위의 contextual factors를 연결시켜 설명하자면,  Field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수학이나 통계학을 사용하여 task uncertainty를 감소시켜, 결국 reputational autonomy를 낮추고,  Audience를 제한하여, prestigious audiences를 접촉하도록 하고 Functional strategic dependence를 높여 publication outlet를 확대시키는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