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Studying Information Technology in Organizations: Research Approaches and Assumptions, Orlikowski, W. and Baroudi, J.,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1), 1991, 1-28.
--
IS연구에 대한 보편적인 입장은 실증주의적이다.
논문을 쓰려면 논문을 받아주는 사람들의 입장이 먼저여야 한다. 당연하지 않은가..

그렇다면 IS연구의 주요 입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핵심적으로 IS연구는 실증주의와 해석주의로 나눌수 있다.
현재는 대다수 실증주의 입장이 대부분의고 해석주의적 접근이 많지 않으나, 실제로는 해석주의적 접근도 필요하다.

특히 저자는 비판적 연구도 필요하다고 주장하나 그 논증적 설명은 부족하기 이를데 없다.
아마도 비판적 연구를 강조함으로써 해석주의적 입장의 필요성을 설명하고자 한것으로 보이며, IS연구 접근의 한 방법으로 보기에는 한계가 많다.

비판적연구는 일종의 변증법 혹은 마르크스주의와 흡사한 것이 많다. 연구자가 실질적으로 현실세계에 참여하라는 관점으로 이해하는게 더 좋을듯 하기도 하다.

또하나, 논문에서도 언급되어 있지만, 정량적 접근이 실증주의이고 정성적 접근이 해석주의적 연구방법이라고 단정짓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자라면 당연 두가지 연구방법에 공통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접근해야 한다.

Warren.pak
--
IS연구의 주요관점
 - 연구 카테고리 분류 : 개인단위 연구(54.8), MIS 관리(23.3), 조직단위 연구(21.9)
 - 연구 설계 분류 : 서베이 49.1, 실험실 실험 27.1, 케이스 스터디 13.5
 - 연구 기간 분류 : Cross-Sectional(Single Snapshot) 90.3, Longitudinal 4.5, Cross-Sectional (Multiple) 3.9, Process Trace 1.3
 - 인식론(Epistemology) : Positivist(실증주의) 96.8 - Desciptive 23.9/Theoretically Grounded 72.9

 정리해보면, 실증주의가 대부부의 연구를 찾이하고 특히 정량적 연구가 많은것이 현실

 - Beliefs Underlying the conduct of Research (연구를 분류하는 관점)
   : Physical & Social Reality
      - Ontology : 경험주의세계에서는 인간은 이성적이고 객관적이라고 판단하거나 행동에서 내포되는 것은 주관적이라고 판단함 
      - Human Rationality : 인간의 행동에 기원이 되는 의도들
      - Social Relations : 사회가 안정적이고 순차적이거나 역동적이고 갈등적임.

   : Knowledge
      - Epistemology : 지식을 구조하고 평가하는 척도(Criteria)  
      - Methodology : 타당한 증거를 생성하기 위해 적절한 연구방법들

   :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 Theory and Practice : 설명을 위한 목적 혹은 모델 그자체

Positive Vs Interpretive 연구 철학
 

   Positive  Interpretive
 Physical & Social Reality -객관적인 물리적, 사회적 현상은 인간과 독립적으로 존재함.
- 이해,특징,측정에 문제가 없다.
- 낮은 수준의 가설들로 부터 보편적인 법칙을 추출할수 있다.
- Explanation, Prediction & Control 사이에 강한 연결관계(Tight Coupling)
- 사회현상은 주어진게 아니다(not Given) 즉 인간의 행동과 상호작용에 의해 사회현상은 만들어진다.
-  조직, 그룹, 사회시스템은 인간과 떨어뜨려 생각할 수 없음.
  Knowledge - 이론이 증명되거나 거짓으로 되는등, 이론을 실증적으로 테스트하는점 
- Hypothetic-deductive Method (가설 연역법)
- 타당하게 해석할수 있는 지식을 생성하는 연구방법
- 현상과 그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연구분야로 부터 Construct를 추출함.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 기술적, Value - Free (주관 비개입) - 가치 중립적일수 없다.
- 연구자의 사전에 추측, 신념, 가치 그리고 이익은 그들의 탐구 결과를 유형화하기 위해 간섭하게 된다.
 Assessment - 구조화된 Validity, Rigor, Replicability 척도
- 실증연구의 품질 기준
- 축적된 지식의 전통을 만들어감
- 한계점 : 실제적 관계를 설명하는데 한정됨, 보편적인 법칙을 만드는데 한계가 존재함.
 장점
 - 사회현상(사회 룰, 의미)에 대한 서로다른 영역들간의 관게를 밝혀준다.
 - 사회프로세스는 복잡하고 연동적이고 사회적 현상의 약점들을 포착하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됨

 단점
 - 외부적 요인들을 설명하기 어려움
 - 의도되지 않은 행동 결과를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음
 - 구조적 갈등을 설명하기 어려움
 - 역사적 변화를 설명하기 무시함.

Critical 연구철학

   Critical
 Physical & Social Reality - 사회적 실체가 역사적으로 구성되어 인간,조직,사회가 어떤 특정한 상태로 존재하도록 제한되지 않는다봄.
- 사회적 관계는 끊임없이 변화한다는 입장
 Knowledge - Long-term Historical Study 즉 Longitudinal Study
- 현상에 대한 비판적 분석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 연구자는 현상의 제한적인 조건을 인식하고, 변화를 시도하며 Alienation이나 Domination의 기반을 제거
 Assessment - 사회현상을 전체적인 관점으로 보게함.
- 추측에 문제가 있음
- Reflexive하지 않음 (재귀적이지 않음)
- 이론과 지식의 형태가 명확하지 않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