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Information Technology and Organizational Change: Causal Structure in Theory and Research, Markus, L. and Robey, D., Management Science, 34(5), 1988, 583-598.
--

조직에 IT가 어떻게 영향을 주는 것인가를 분석해 내기 위해 어떤 모델과 이론을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어떤 이론을 구성할 것인지는 연구자에게 중요한 선택요소이다.

이론의 구조를 분석해 보면 이론에 관한 다양한 고려사항들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조직구조에 영향을 주는 인과관계는 기본적으로 단 반향으로 구성되어 있다특히 기술적 관점, 조직과 개인에 요구에 의한 관점, 예기치 않은 사용상의 이벤트에 의한 관점이 원인결과를 설명하데 사용된다.

한편 이론의 논리구조 역시 특별하게 살펴봐야 한다.
IS
연구자라면 친숙하게 만나는 이론의 형태는 대부분이 Variance Theory이다. 즉 원인결과가 선형구조로 나타나는 형태다. 그러나 는 프로세스에 따라 전체 Data를 추적하며 인과관계를 추적해 나가는 방식인 Process Theory는 자주 접하기 어렵지만, 이론적 틀에 있어 가용성이 높은 것 만은 분명하다.

만약 실증주의와 해석주의관점에서 Variance Theory Process Theory를 설명한다면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
일반적으로 실증주의 관점이 Variance Theory의 전형으로 보이고 해석주의 관점은 Process Theory를 설명해 준다고 봐야 할 테지만, 실증주의관점의 접근이 Process Theory에서도 충분히 적용될 수 있음을 생각해 보면 명확하게 구분하기는 어렵다.
--

IT와 조직변화간의 관계에 관한 견해는 두 가지 부류로 나누어짐.

 1) 조직변화에 대한 긍정적인 입장

- 직무변화: 조직의 정보처리기능이 통합되고 조직내의 여러 부서간의 많은 업무가 이동되거나 변화함으로써 조직구조가 실제로 재편성된다.

- 의사결정 역할, 영향력 변화: 관리자들의 의사결정역할과 상호간의 영향력 관계가 변함으로써 관리층에서의 조직구조가 달라지고, 커뮤니케이션이 공식화된다.

- middle manage의 역할 감소: 중간관리층 역할의 중요성이 감소되어 최고관리층과 중간관리층과의 구분이 명백해지고, 정보시스템의 도입은 그 조직의 틀 내에서 실질적이고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고 인식하고 middle manager의 경우 그들의 jobintensive하게 program되어서 개인의 재량권이 감소하고 따라서 조직의 재집권화가 나타나게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 재집권화: 커뮤니케이션도 최고관리층에 집중되어 재집권화가 일어난다. 권한이 최고관리층에게 이전되어 재집권화 된다.

 

2) 조직변화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

- IT 도입이 집권화와 분권화에 미치는 영향, 조직계층구조의 변화, 인력의 감소, 관리자의 직무역할 변화, 중간관리층의 변화에 의문을 제기

- 컴퓨터는 관리자를 대신할 수 없고, 관리자가 사용하는 하나의 도구에 불과하고 관리자의 직무수행 방법을 변화시킬 뿐이다. 관리자의 수는 변화하지 않고, 보다 정확한 분석과 정보를 통해 합리적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어 오히려 관리자에게 도움을 준다.

-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새로운 엘리트가 중간관리층으로 부상할 것.

- 최고관리층은 IT에서 해결하지 못하는 비정형적인 의사결정을 담당하고, 하위관리층은 IT지원을 받는 정형적 의사결정을 주로 담당하고, 중간관리층은 이 둘간을 연결시키는 의사결정을 담당할 것이다. 조직구조에 별다른 변화가 없을 것이다.

 

à, IT 도입으로 일정수준의 조직적 변화는 일어난다고 보아야 할 것이며, 단지 그 변화의 정도가 다르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그 변화 정도의 차이는 조직의 특성, IT의 수준, 조직환경 등의 변수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Richard H. Hall, Organizations: Structures, Processes, and Outcomes, p. 77 (New Jersey : Prentice-Hall, 1991)

 

이론적 모델의 인과관계 구조는 세가지 측면으로 구성됨.

IT와 조직의 변화에서 찾아볼수 있는 이론모델의 인과관계의 설명을 위해 Framework을 제공.

(이론의 구조를 설명)

 Causal Agency

Logical Structure

Level of Analysis 

 Technological Imperative

Variance Theory 

Individual, Organizations, Society

 Organizational Imperative

 

 Emergent Perspective

Process Theory

Macro Vs Micro

 

1) Causal Agency: 인과관계의 속성에 대한 benefit을 다룬다.

- Pfeffer(1982)“action in organizational theory”. “situational control”, “rational actor”, “ emergent” 관점에서 왔다.

1.1 Technological imperative: External force가 변화를 일으키는가, IT external force로서 조직변화를 일으키는 원인이라는 견해. (IT 자체를 종속변수로 봄)

1.2 Organizational imperative: 의도하는 목적 달성을 위해 목적의식을 가지고 행동하는가, IT 설계자의 동기와 행동이 조직변화를 일으킨다. (IT choice를 종속변수로 봄)

1.3 Emergent perspective: (정성적 접근임) 사람과 이벤트 사이에서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변화가 일어나는가, 조직변화는 IT와 인간과 조직 내 사용자간의 예측할 수 없는 상호작용으로부터 온다.

 

2) Logical Structure: 이론의 time span(static/dynamic), 선행과 결과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화를 다룬다.

- 원인과 결과간의 관계가

2.1 Variance theory – 불변하는 것이고 반드시 필요하며 sufficient relation인가

2.2 Process model – 시간이 지나도 sufficient condition인가

  3) Level of Analysis: 이론이 갖는 entity가 개인, 집단, 혹은 이 둘 모두인가를 다룬다(Macro/Micro).


Causal Agency
   1) Technological Imperative
     -
외생 변수로서 기술은 조직이나 개인의 행동을 제약하는 강력한 요소가 됨

- Pfeffer의 조직행동에서의 “situational control” 관점. 행동은 의식적인 선택이 아니라 social actor가 통제하기 힘든 외부의 억압, 요구, 영향력에 의한 결과라고 봄.

-  우발적인 사건들이 IT와 구조적 변화 사이 관계에 영향을 줌

- IT는 환경적 불확실성과 조직구조 사이의 인과관계에 강한 영향을 주는 조절변수(Moderating Values)

 



   2) The Organizational Imperative

     - 의도된 합리성(Intendely rational) 관점 à 행동은 선택되는 것이고 선택은 일관되게 선호하는 것에 따르고 행동에 앞서 일어나며 행동은 목표를 향하는 것이다(consistent preference è choice è behavior).

-  행위자들은 직접적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움직임.

- IT는 조직적 명령에 있어 종속변수이고 조직의 정보 프로세싱 필요와 매니저의 선택에 의해서 인과관계를 가짐.

3) Emergent Perspective
     -  IT
사용과 결과들은 복잡한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해 예기치 않게 나타난다..

 - 사람과 이벤트 사이에서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변화가 일어나는가, 조직변화는 IT와 인간과 조직 내 사용자간의 예측할 수 없는 상호작용으로부터 온다.

 - 기술적 특성과 행위자의 의도간에 예측할 수 없는 상호작용에 의한 것

 - Role of computing infrastructure, 상충하는 목적과 선호하는 것의 상호작용, 비합리적 목적과 선택의 과정.

 

Normative Implication

- Causal agent의 세가지 관점은 결과에 대한 원인의 속성이 다르다. 속성 파악이 중요. 서로 다른 견해를 분석함으로써 model의 특성과 같은 규범적 위치에 의해 쉽게 구별 가능.

- Technological imperative analysis는 조직구조나 workerskill enhancement deskiiling, 고용기회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경우 유효.

- Organizational imperative analysis IT의 결과가 관리자나 시스템 설계자의 행위나 선택에 의한 것이라고 본다.

- Emergent analysis는 결과를 기술적 특성과 행위자의 의도간에 예측할 수 없는 상호작용에 의한 것이라고 본다.

 
Logical Structure

Process theory input IT output인 성과 사이의 과정을 따라가면서 조사하는 연구방법임. 각각은 variance theory이지만, 전체적으로는 process theory

 

 구분

 Variance Theory

 Process Theory 

 시간

Static

Longitudinal 

 정의

어떤 값의 범위에서 취할 수 있는 entity들을 변수로 개념화하고 결과변수의 완전한 범위 값을 예측할 수 있다. ) IT의 사용을 증가시키면 조직집권화 정도는 높아진다.

원인변수가 더 있으면 무엇이 발생하는가를 예측할 수 있음

결과가 어떤 범위 값을 가질 수 있는 변수가 아니라 상태변화로 불리는 이산적이고 불연속적인 현상으로 인식됨.

결과를 야기하는 어떤 필요조건이 존재하면 이러한 조건이 더 많다고 해서 더 많은 결과를 가져오지는 않음.

 가정

원인은 결과의 필요충분 조건

원인은 결과의 충분조건 

동일한 결과가 항상 나타남 

동일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음 

 요소 

Variables

Discrete Outcomes 

 논리 

 If X, then Y If more X, then More Y

If Not X, then Not Y,
If Not more X, then not More Y. 


 - Technological Imperative
   :
외생변수로서 기술을 작용하게 되거나 조직이나 개인의 행동을 제약하는 강력한 요소가 됨
   : 
우발적인 사건들이 IT와 구조적 변화 사이 관계에 영향을 줌

- Logical Structure
Causal Agency
   : Variance
process Theory 모두 Technological Imperative Organizational Imperative관점 적용가능

- Process Theories
  : Variance Theory
에서는 누락되기 쉬운 Empirical Data를 찾아내어 복잡한 문제들에 대해 인과관계를 밝혀낼수 있다.
  :
조직의 복잡성에 맞는 복잡한 문제를 Variance Theory보다 신뢰성 있게 예측이 가능하다.
  : IT
Organizational Change의 관계에 통일되고 강화된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Level of Analysis
 - Individuals, Organizationals, Society 수준에서 분석가능
 -  Macro, Micro
에 관한 문제는 논쟁의 여지가 없도록 해야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