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The Duality of Technology: Rethinking the Concept of Technology in Organization, Orlikowski, W.J., Organization Science, v.3, n.3. 8/1992
---
기술의 이중성이라는 개념 쉽게 말해 기술은 사람에 의해 영향을 받고 또한 기술이 사람에게 영향을 준다는 의미다.
구조화이론을 IS에 적용하여 조직에서의 IS영향을 설명해주는 대표적인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구조화이론을 통해서 IS는 단순히 한방향으로 조직에 영향을 주는게 아니라 조직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는게 핵심이다. 구조화이론은 너무나도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이를 통해서 조직-사람-기술의 상관관계를 생각해보게 한다.

쉬운개념은 아니지만.. 음미해 봐야 할게 많다.
Warren.pak
---
Two important aspects of the technology concept 
 - scope (what is defined as comprising technology)
 - role (how is the interaction between technology and organizations defined)

l
 
Differences in Scope
 - Technology as hardware : 사용하는 조직 안에서만 의미를 지니므로 일반화의 한계점을 가짐
 
- Extended Social Technology : task, technique, knowledge, Tool을 하나의 기술이라는 개념으로  일반화 시켰지만, 이들간의 interaction이나 human의 요소는 고려되지 않음

l
 
 Differences in Role
 - TechnologyObject로 보는 견해
 - Human action의 측면을 강조
 - Technologyexternal force로서 impact을 가지며, impacthuman actororganizational context에 의해 moderate된다고 보는 견해 

Technological Imperative Model :
기술을 조직이나 인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 여김
(technology as an independent influence on human behavior or organizational properties, that exerts unidirectional, causal influences over humans and organizations, similar to those operating in nature )
- As a consequence, this perspective furnishes an incomplete account of technology and its interaction with organizations.



Strategic Choice Model :
technology is not an external object, but a product of ongoing human action, design, and appropriation.
1) how a particular technology is physically constructed through the social interactions and political choices of human actors. 여기서 기술은 Organizational Context Human actor(의사 결정자나 사용자)의 전략에 의해 영향을 받는 종속변수로 고려 (Zuboff, Markus )
à Socio-technical study : 다른 의도를 가지고 디자인된 IT는 사용자에게 다른 영향을 끼친다고 보는 관점. 그러나 Human actor에 너무 의존적인 단점
2) Shared interpretation : 기술을 둘러싼 shared interpretation이 기술의 발전과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
3) Represented by Marxist : technology is devised and deployed to further the political and economic interests of powerful actors

Model of Technology as Trigger of Structural Change(Barley):
 기술을 지속적으로 변하는 조직 구조와 human agent사이의 관계를 조정하는 Social object로 보는 관점
"Technologies do influence organizational structures in orderly ways, but their influence depends on the specific historical process in which they are embedded."
While Barley asserts that some features of the technology are socially constructed, he does not allow for the physical modification of technology during use.

A Structurational Model of Technology

l  Giddens Theory of Structuration
 - 기본 가정 : Social realitysubjective human actorinstitutional properties에 의해 구성됨
 -  Duality of structure : social systemstructure 또는 institutional propertieshuman action에 의해서 생성되고, 다시 미래의 human action을 형성하는데 기여한다는 개념 
 (Dualism between objective, structural features of organization and subjective, knowledgeable action of human agents)
 
-   Structuresocial system의 추상적인 특성이고, human actor와 떨어져서는 존재할 수 없음. , structurehuman action은 서로 상대방을 반복해서 구성(constitute)
 - Structuration : human actionsstructural features of organizationreciprocal interaction을 가지는 social process로써 가정한다.
 -   Human Actor : actorKnowledgeable and Reflexive 하다고 봄
  (Regular action of actor -> pattern of interaction -> standard practice -> institutionalize -> form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organization)
  à Social world에 대한 subjective and objective dimension을 통합
 -   분석수준을 인위적으로 macromicro 레벨로 구분하는 것을 제거 , 다양한 분석수준에서 조작(operate) à 보다 완벽한 social theory를 구축

- Giddens는 인간의 모든 상호작용이 meaning, power, moral frameworkstructure로 구성되며, 어떠한 상작용도 이것들에 의해 분석이 가능하다고 봄
- Action 영역과 social structure 영역을 연결해주는 세가지 modality를 제시 :

- Interpretive schemes :
사람들이 행동과 이벤트를 해석하고, 의미있는(meaningiful) 상호작용을 달성하도록 해주는 표준화되고 공유된 지식들을 의미
- Resources : 의도가 현실화되고, 목표가 달성되고, 파워(transformative capacity)가 실행되는 수단
-   Norms : 적절하거나 부적절한 행동을 통제하는 규칙으로, 세팅의 moral order 내에서의 상호작용에 대한 합법성(legitimacy)을 규정
- 이 세 가지 moralitysocial system의 조직적 특성이 의도적인 인간 행동을 mediate하고, 인간의 행동이 social structure를 구성하는지를 결정
- Social structurehuman action을 연결하는 linkage를 “process of structuration” 


à
Structure of Signification: Organizational rules that inform and define interaction
à Structure of Domination: asymmetry of authoritative and allocative resources
à  Structure of Legitimation

à Norm : Organizational conventions or rules

à Interpretive Schemes : standard, shared knowledge

à Resources : means through which intentions and goals are realized and power are exercised

 

The Role of Technology in the Theory of Structuration

-      Technology, 특히 ITstructuration theory 내에 적절하게 포함될 수 없다고 보고 있음

-       특히, 기술이 조직의 프로세스를 mediate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곳에서는 structuration processcentrally implicated

 

Premises of a Structurational Model of Technology

 

-Duality of Technology : Human action 에 의해 Create & Change(Recursive View)

-Technology : Interpretively Flexible로 기업과 기술의 상호작용을 서로 다른 actorsocial context의 함수로 봄

 

l  Duality of Technology

기술을 social context 안에서 human actor에 의해 다양한 의미가 부여되고 만들어지며, 이는 다시 objective화 되어 조직의 structural property가 된다.

Actor : Knowledge & Reflexive

l   Interpretive Flexibility of Technology

기술을 고안하는 쪽과 사용하는 쪽은 time-space discontinuity를 가짐

기술 개발시 기술을 보는 관점은 dynamic, contingent feature로 보며, 기술은 institutional property를 반영하며 managerial goal을 달성하기 위해 고안된다고 봄

기술 사용은 고안된 기술에 영향을 받으며, 기술은 institutional property에 영향을 미침. 기술을 fixed object로 봄
 

** Interpretive Flexibility : the degree to which users of technology are engaged in its constitution during development or use.

 

Components of the Structurational Model of Technology

 


(1) Technology is the product of human action: (arrow a)

기술은 design, development, appropriation, modification 을 통해 만들어 진다

Design mode : interpretive schemes, resource, norm 을 반영하여 기술을 개발

Use mode : 개발된 기술에 meaning, norm을 부여하여 영향을 미침

(2) Technology as the medium of human action (arrow b)

기술은 interpretive schemes, resource, norm을 통해 인간의 행위를 제한한다.

(3) Institutional Conditions of Interaction with Technology (arrow c)

institutional property는 기술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에게 영향을 미친다. (Intention, professional norm, state of the art in material and knowledge, design standard, resource)

(4) Institutional consequences of interaction with technology (arrow d)

기술과 상호작용은 Structure of Signification, Domination, Legitimation를 강화하거나 변형하는 과정을 통하여, 조직의 institutional property에 영향을 미친다.

 

Human agents(technology designer, users, decision-makers ), Technology(material artifacts mediatiniig task excution in the workplace), Institutional property(including organization dimensions such as structural arrangements, business strategies, ideology, culture, control mechanisms,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division of labor, expertise, communication patterns, environmental pressures such as government regulation, competitive forces, vendor strategies, professional norms, state of knowledge about technology,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