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Structuring of Organizations
생존전략가 2008. 10. 19. 22:32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Structuring of Organizations, Orlikowski, W.j. and Robey, D.,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2), 143-169
---
process 이론과 Variance이론을 공통적활용하기 위해 구조화 이론이 도움이 된다고 한다.
구조화이론의 주요 참고영역은 모델에 Modalites를 추가하여 분석하여 단순한 Variance 차원의 Causality에서 Process로 확대하여 분석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프로젝트를 구조화이론을 실제로 적용해 봐야할듯하다.
---
Introduction
l 시스템 개발(implementation) 및 IT의 사용(organizational impact)을 둘러싼 organizational context가 많은 연구자들이나 실무자들의 관심사항임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관성 있는 연구결과의 결여, 이론적 프레임워크의 확립 소홀 등으로 인해 비판을 받음
l Markus & Robey(1988)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지적
- Causal agency 문제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지 않음
- Theory에 있어서 variance theory에 대한 over-reliance
- 분석수준으로서 개인, 그룹, 조직을 구분하는 것에 대한 실패
- Causal agency에 대해 deterministic model보다 emergent model을 채택하고, 배타적으로 Variance theory에 의존하기 보다는 process theory를 사용하고, 다양한 분석수준을 연계할 것을 권고
l Markus & Robey의 이러한 권고에도 불구하고, 보다 생산적인 연구를 위한 theory나 프레임워크 개발에 소홀 à 본 논문에서 이 작업을 하고자 함
l 본 논문에서 structuration theory(Giddens A.)를 기반으로 이를 확장해서 이론적 프레임워크구축
l 프레임워크의 초점은 IT에 대하여 IT가 어떻게 생성, 사용되고 조직 내에 institutionalized 되는지에 관한 것임
Social Reality as Subjective and Objective
• 사회과학자의 두 분류 social reality의 subjective 혹은 objective로 보느냐에 따라 나뉨
- Subjective : Weber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social system을 meaningful human behavior의 결과로 보는 견해. 즉, social reality를 subjective하게 그림
- Objective : Durkheim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social system의 institutional 측면에 초점을 맞춰 social system이 인간의 행위와 무관하며 이를 제한하는 것으로 보는 견해. 즉, social reality를 objective하게 그림
• Subjectivist 관점
- Social world의 해석, 생성, 수정에 있어서 subjective human experience의 중요성을 강조
- Human actor에 관심의 초점이 있음
- Knowledgeable individual이 의도적인 action과 enactment를 통해 어떻게 그들의 social world를 창조, 재창조하는가를 설명함으로써 현상을 이해하려고 함
• objectivist 관점
- Objective world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의 정의를 강조하며, 이 요소들의 관계 및 규칙성(regularity)를 분석하고자 함
- Social system의 institutional property에 관심의 초점이 있음
- Institutional property가 인간의 행위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social relationship을 어떻게 형성하는지를 설명함으로써 현상을 이해하려고 함
- 사회과학의 논란은 이 두 가지 가정 중 어느 것이 사회현상을 분석하고 이해하는데 더 적합한가?
• 두 관점의 분리는 사회학, 조직학, IS 분야의 연구자들을 갈라놓고, 통합되고 견고한 패러다임의 부족을 야기
• 본 연구 Giddens의 theory of structuration을 기반으로 두 가지 관점을 통합한 meta theory를 제안
• 두 관점 모두 똑 같이 중요하게 보고, social reality에서 두 차원을 동시에 인식
Subjective and Objective Treatments of IT
• Subjectivist approach
- IT에 대한 social action 관점을 취함. 즉, IT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다양한 결과를 만들어낸다고 보는 입장
- 시스템이 objective characteristics를 가지고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하는 문제점이 있음
• Objectivist approach
- Subjectivist approach 보다 더 일반적이지만, 더 정확한 것은 아님
- IT를 독립변수 또는 experimental treatment로 보며, 기술이나 조직구조를 object로 봄
- IT의 material characteristics의 중요성을 과대평가하고, social interpretation이나 특정 H/W 또는 S/W 구성의 impact를 변경할 수 있는 action을 무시
Structur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 본 논문에서는 IT가 structuration process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는 모델을 제안
• The duality of IT
- IT는 특정 structural and cultural contexts내에서 subjective human action의 social product
- IT는 human action을 mediating(facilitating and constraining)하고, 이에 따라 context를 생성, 재생성, 변형하는데 기여하는 객관적인 rule과 resource의 set
- IT는 organizational action의 antecedent이자 consequence
à Structure of Signification: Organizational rules that inform and define interaction
à Structure of Domination: asymmetry of authoritative and allocative resources
à Structure of Legitimation
à Norm : Organizational conventions or rules
à Interpretive Schemes : standard, shared knowledge
à Resources : means through which intentions and goals are realized and power are exercised
The Role of Technology in the Theory of Structuration
- Technology, 특히 IT는 structuration theory 내에 적절하게 포함될 수 없다고 보고 있음
- 특히, 기술이 조직의 프로세스를 mediate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곳에서는 structuration process에 centrally implicated됨
IT and the Modality of Structuration
IT가 앞의 그림과 같이 각각의 화살표들에 영향을 주며, structuration process의 central part를 구성
• IT and Interpretive Schemes
- IT는 social reality를 구축하기 위한 매체로서, 개념과 심볼들을 통해 reality를 표현하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자신들의 세계를 structure and understand할 수 있는 interpretive schemes를 제공
• IT and Resources
- IT는 조직내 정보처리를 공식화함으로써 human actor가 정보처리활동을 할 수 있게 해주는 resource
• IT and Norms
- IT는 제재(sanction)의 공식화(formalization) 및 institutionalized moral order의 생성을 가능하게 해줌
- Norm의 codification을 지원함으로써 behavior를 통제하는 것을 도와줌
- Modality of structuration은 역사적이고 조직적인 context 내에 embedded되어 있고, 이러한 context가 IT의 개발, 전개, 사용, institutionalization에 영향을 줌
Conclusions
• 본 논문에서는 IT가 두 가지 특성, 즉 social and material properties를 가지고 있다고 봄
- Social property : IT는 subjective human action에 의해 물리적 사회적으로 construct가 됨
- Material property : institutionalization을 통해 객관화 및 구체화 됨
• 본 논문에서는 IT의 특성 및 조직과의 상호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structuration theory에 기반을 둔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제시
• 시사점
- Subjectivist 관점과 Objectivist 관점을 결합한 통합된 관점에서 IT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 IT의 dual nature를 강조. 즉, IT가 human action과 institutional property에 의한 산출물임과 동시에, IT가 structural opportunities and constraints를 통해 human action을 어떻게 형성하는지에 초점을 맞춤
- Contextual and historical factor들이 structuration framework 내에서 IT의 개발 및 사용, 즉 IT와 조직의 상호작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질적연구 및 양적연구 사이의 경계를 넘어선 연구를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분석수준에서의 연구를 가능하게 함
• 한계점
- 본 논문에서 제시한 프레임워크가 meta-theory이기 때문에, 특정 현상에 직접적으로 적용하는데는 한계가 있음
- Total
- Today
- Yesterday
- 투자
- 태음인
- 공모전
- 논문
- 교육
- 경영
- 사회연결망
- ETF
- Final Exam
- 사상의학
- social network
- 구본형
- 와인
- 프로젝트관리
- SNS
- 책읽기
- IS theory
- 조직
- HR
- Social Network Service
- 주식투자
- 펀드
- 주식
- 영어표현
- 영어
- 프로젝트 관리
- ant
- M&A
- 등산
- 경영전략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