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DELONE WH and MCLEAN ER (1992) Information systems success: the quest for the dependent variabl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3(1), 60–95.

 

¨ Delone McLean IS 연구의 종속변수로서 IS success에 초점을 맞추어 통합적 분류기준 및 모델을 제시하고자 IS Success 모델을 개발

¨ IS Success 모델의 여섯 가지 Dimension(or category)

-   SYSTEM QUALITY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자체에 대한 system performance의 측정

-   INFORMATION QUALITY : information system output에 대한 측정

-   USE : Information system의 결과에 대한 recipient의 소비에 대한 측정

-   USER SATISFACTION : Information system output 사용에 대한 recipient의 반응을 측정

-   INDIVIDUAL IMPACT : Recipient의 행동에 대한 정보의 효과를 측정

-   ORGANIZATIONAL IMPACT : 조직의 성과와 관련된 정보의 효과를 측정

¨ D&M IS Success Model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USE USER SATISFACTION에 영향을 주고, USE USER SATISFACTION 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INDIVIDUAL IMPACT의 직접적인 전제 조건이 되고, INDIVIDUAL IMPACT 은 궁극적으로 ORGANIZATIONAL IMPACT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

¨ D&M IS Success Model


¨ Contribution

-   D&M IS Success Model taxonomy interactive relationship IS Success에 대하여 과거의 접근방식들보다 더욱 이해하기 쉬운 관점을 제시

-   모호한 IS Success에 대한 정의를 명확하게 하여 모호한 IS 연구 중심을 논리적으로 제시하고, 연구 결과에 대한 비교를 가능하게 하였음

-   IS Success를 개념화하고 조작화하는데 있어서의 기본적인 framework으로 사용 되었으며 이후 많은 논문들에 의해 인용

-   6가지 범주의 종속변수들은 서로 다른 방법으로 많은 연구들에서 측정되어 왔으며, 이후 theoretical & empirical IS research의 기초가 되었음

2. DELONE WH and MCLEAN ER (2003)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success: a tenyear update.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9(4), 9–30.

¨ IS Success 모델에 대한 평가

-   Seddon(1997) IS success 모델이 variance modelprocess model을 하나의 모델로 합쳐놓아 개념적으로 모호하다고 비판

-   또한, Seddon(1997) ‘USE’ 변수는 behavior이기 때문에 process 모델에는 적합하지만, causal 모델에서는 제거되어야 한다고 주장

-   많은 연구자들이 IS success 모델을 특정환경에서 정의하고 조작화하기 힘들다고 비판

-   그럼에도 불구하고 IS Success 모델은 발표 후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IS Success를 개념화하고 조작화하는데 기본적인 프레임워크로 사용되었음 : 발표 후 300여 편이 넘는 논문들에 의해 인용됨

¨ 본 논문의 목적

-   IS Success 모델 발표 후 IS의 효과에 대한 학문적인 질문들이 많이 증가하여 왔고, 급속히 성장하는 E-commerce 환경에 맞추어 D&M IS Success 모델을 Update하고 그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함

¨ Updated IS Success 모델


¨ Updated IS Success 모델의 특징

-   Service Quality : 사용자 중심의 컴퓨팅 환경의 등장으로 IS 조직의 역할이 information provider service provider dual role이 요구됨. 그런데, 기존 연구가 IS effectiveness의 측정이 product 관점에서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service로서의 IS effectiveness의 측정이 필요하다는 주장(Pitee et al.; Kettinger & Lee)을 수용해, Service Quality 변수를 추가

-   Net Benefits : IS “impact”의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연구원들은 work group impacts, inter-organizational and industry impacts, consumer impacts, societal impacts와 같은 추가적인 척도를 포함시키자고 제안. 따라서, 이러한 모든 impact척도들을 하나의 척도인 net benefits에 포함시켜 기존의 Individual impacts”, “Organizational Impacts를 대체하였음

-   “Use”에 대한 multidimensional aspect로 인한 혼란을 피하기 위해 behavior “Use” attitude “Intention to Use” 와 구분하였고, Process 관점에서 볼 때 “Use” 는 반드시 “User Satisfaction” 을 선행한다는 점을 고려해 Use(behavior) è User Satisfaction è Intention to Use(attitude)관계를 제시, “Use”   “User Satisfaction” 의 결과로서 어떠한 “Net Benefits” 이 일어날 것이며 긍정적인 “Net Benefits” “Use” “User Satisfaction” 에 대한 영향을 수반한다는 것을 제시

•Seddon (1997) - Process & Variance model, ‘Use’ Variable is confusing
• Pitt et al. (1995) - SERVQUAL, For measuring overall success of the IS department
• Myers et al. (1997), Seddon et al. (1999) - IS success affects workgroups, industries, and even societies.

3. PETTER S, DELONE WH and MCLEAN ER (2008) Measuring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s, dimensions, measures, and interrelationships. Europea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17(3), 236-26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