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방법론으로서 이차적 문화기술지(meta ethnography)에 대한 설명을 예를 통해서 설명하는 논문으로 다양한 질적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문화기술지가 적용되는 간호,의료보건 분야에서 빠른 발전을 이루고 있다.

Using meta ethnography to synthesize qualitative research : a worked example
from [J Health Serv Res Policy vol.7, No.4, Oct 2002] By Summarized by 곽규태 책임.

- Abstract -
Objectives: To demonstrate the beneŽ ts of applying meta ethnography to the synthesis of qualitative research, by means of a worked example.
Methods: Four papers about lay meanings of medicines were arbitrarily chosen. Noblit and Hare’s seven-step
process for conducting a meta ethnography was employed: getting started; deciding what is relevant to the initial
interest; reading the studies; determining how the studies are related; translating the studies into one another;
synthesising translations; and expressing the synthesis.
Results: Six key concepts were identiŽ ed: adherence/compliance; self-regulation; aversion; alternative coping
strategies; sanctions; and selective disclosure. Four second-order interpretations (derived from the chosen papers) were identied, on the basis of which four third-order interpretations (based on the key concepts and second-order interpretations) were constructed. These were all linked together in a line of argument that accounts for patients’ medicine-taking behaviour and communication with health professionals in different settings. Third-order interpretations were developed which were not only consistent with the original results but also extended beyond them.
Conclusions: It is possible to use meta ethnography to synthesise the results of qualitative research. The worked
example has produced middle-range theories in the form of hypotheses that could be tested by other researchers.
--
주요 사용용어 설명
 meta analysis(메타 분석) : 양적 문헌연구(literature survey)의 대표 방법으로, 비슷한 주제(가설)에 대한 여러 연구들(주로 실험연구)을 종합하고 비교하여 그  주제(가설)에 대한 종합적 결론을 내기 위해 사용하는 통계적인 방법. 각 개별연구에서 나온 결과들을 표준화(effective size/eta)시킨 후 변수 간 관계의 방향과 크기를 살펴 봄
 ethnography(민족지, 문화기술지) : 인류학에서 발전한 연구방법으로 한 문화를 이해 하는 과정을 기록한 것. 연구대상 집단의 생활세계 속에서 참여관찰을 통하여 얻게 된 그 사람들의 가치, 지식, 기술을 총체적으로 기록. 민족지는 기본적으로 문화를 이해 하기 위한 연구방법이며,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주요기법으로 사용함
 meta ethnography(이차적 문화기술) : 기존의 문화기술적 사례연구들을 수집해 비교/ 종합함으로써 보다 심층적이고 비판적인 문화 이해를 모색하는 연구방법

--
 질적연구들을 통합하는 연구방법론
  ① cross-case analysis (Miles & Huberman)
  ② case survey method (Yin)
  ③ multiple exemplar strategy (Denzin)
  ④ meta ethnography

 채택한 연구방법 : meta ethnography
  - 채택사유 : 질적 데이터들을 통합하는 방법으로 가장 우수 (귀납법과 해석이 필요)
  - 이 방법을 통한 synthesis의 결과물은 서로 충돌하는 연구 간의 해석이며, 연구자들로
    하여금 상호 이해하고,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다른 연구와 비교하게끔 장려함
  - synthesis에서 연구들은 세 가지 방법으로 설명 가능 : 상호해석과 같이 직접적으로
    비교, 서로 반대 입장에 서서 논박해석 가능, 다 합쳐서 하나의 주장으로 대표될 수도
  - Nobilt & Hare 가 약술한 meta ethnography 수행을 위한 7단계 준수
--
 Seven steps of Noblit and Hare’s meta ethnography
1. Getting started
2. Deciding what is relevant to the initial interest
3. Reading the studies
4. Determining how the studies are related
5. Translating the studies into one another
6. Synthesising translations
7. Expressing the synthesis

--
 Getting Started
  - 질문설정 : 환자들이 지각하는 약의 의미가 환자들의 약 복용 습관에 미치는 영향과
    이것이 건강전문가들과의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Deciding what is relevant to the initial interest
  - 4개의 보고서 채택(현재 작가들의 보고서 3개+반대 보고서 1개)
 Reading the studies
  - 보고서 내용의 컨셉 확인+연구의 세팅과 참여자의 설명 세부기술
 Determining how the studies are related
  - 컨셉들을 나열한 그리드 작성(Schutz의 notion of first & second-order construct)
 Translating the studies into one another
  - 그리드 완성
 Synthesising translations
  - 그리드 이외의 컨셉과 해석을 읽어냄(third order interpretation)
 Expressing the synthesis

: 본 연구는 의료보건 분야의 문화기술지 논문을 통한 이차적 연구를 수행하며 연구의 방법과 필요성에 대해 논하고 있음. --> meth enthnography 연구의 좋은 사례로 적용가능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