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미래에 일할 사람이 없다?
8년뒤 20,30대는 줄고.. 상대적으로 일할 사람이 부족한 반면..
지금넘쳐나는 30,40대는 그 때 40,50대가 되어 사회의 골치거리가 될지도 모른다.
경제적 필요성은 높아지지만, 높은 연봉으로 유연성은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일할 사람은 부족해지면서
그 간격을 메울 해외인력(중국, 인도, 미국의 해외인력)이 관리직, R&D직을 차고 들어올지 모른다.
지금의 30~40대에게 오히려 더 상황은 나빠질뿐...
생존전략은 무엇일까?
--
지금은 취업난 … 8년 뒤엔 일할 사람 부족
저출산 ·
고령화로 일할 수 있는 인구(생산가능인구)가 2016년을 정점으로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이에 따라 60% 언저리인 고용률도 점차 낮아져
2040년이면 54%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측됐다. '덜 낳고 빨리 늙어가는' 인구추세를 감안할 때 앞으로 일할 사람 구하기가 힘들어진다는
얘기다. 국회예산정책처는 1일 펴낸 '고령화와 연령대별 고용률 변화 추이' 보고서에서 이 같은 전망을 제시했다.
| |
◆일할 사람이 줄어든다
한국의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수 있는 자녀 수)은 2002년 1.16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한 이후 7년째 저출산 기조가 이어지고 있다.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질 경우 전체 인구는 2018년을 정점으로 우하향곡선을 그릴 전망이다. 보다 심각한 문제는 전체인구 감소와 더불어 고령화로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급감할 것이란 점이다. 장인성 예산정책처 분석관은 "전체인구는 2018년 이후 매년 0.05%씩 줄겠지만 생산가능인구는 2016년 정점을 찍은 뒤 2017년부터 매년 0.9%씩 줄어들 것"이라고 점쳤다.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고용률 하락으로 나타날 전망이다. 예산정책처는 2000년대 들어 취업자 수 증가율(평균 1.7%)을 감안할 때 지난해 60%에 육박했던 고용률은 2010년대에는 58%대로 떨어지고 2040년엔 54%까지 하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노동의 질 하락도 우려
산업현장에 투입되는 노동의 양(量)이 주는 것도 문제지만 질(質)이 떨어지는 정도는 더 심각하다. 예산정책처가 주요 선진 9개국(미국,일본,캐나다,영국,독일,프랑스,스웨덴,이탈리아,네덜란드)의 연령대별 고용률(2007년 기준)을 비교한 결과 한국의 경우 20대 초반 고용률은 37.7%,20대 후반 고용률은 68%로 선진국에 비해 낮았다.
30~50대 고용률도 1980년 이후 70%대에 머무르면서 선진국에 비해 낮았다. 반면 55세 이상 고용률은 선진국을 웃돌았다. 이는 지난 20년간 연령대별 고용률 추이에서도 나타난다. 10대와 20대의 고용률은 갈수록 하락하는 반면 60세 이상은 1990년 35.5%에서 2000년 37.7%로 높아진 뒤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산업현장에 젊은층보다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고령인구가 많다는 의미다.
성별로 보면 여성노동력의 활용도가 미흡했다. 한국의 경우 60세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선진국에 비해 여성 고용률이 낮았다.
◆청년층 · 여성 고용률 높이는 게 해법
장인성 분석관은 "생산가능인구 감소와 고령층 증가는 필연적으로 성장잠재력 하락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며 "먼저 20대 청년층 고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 · 중소기업 간 임금격차를 좁혀야 한다"고 주문했다. 대졸 이상 고학력자가 많은 상황에선 기왕이면 임금을 더 많이 주는 대기업에 취업하려는 이들이 늘 수밖에 없고,이는 취업준비생을 양산하는 결과로 이어진다는 지적이다. 시험 위주의 인재채용 방식을 바꿔 청년 인턴 등 다양한 노동시장 진입루트를 마련할 필요성도 제기했다. 아울러 여성 고용을 확대하기 위해 '파트타임 잡' 등 다양한 일자리를 만들고 육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정부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등산
- 교육
- 조직
- 경영
- ETF
- 논문
- 사상의학
- social network
- 주식
- 경영전략
- Final Exam
- 주식투자
- 영어표현
- 펀드
- HR
- 투자
- 와인
- M&A
- Social Network Service
- 태음인
- 프로젝트 관리
- IS theory
- 구본형
- 책읽기
- 프로젝트관리
- ant
- 공모전
- 사회연결망
- SNS
- 영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