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시골의삭의 주식투자란 무엇인가?

내 지금 책상위는 15권이 넘는 책이 한무더기로 쌓여있고, 한편에는 읽어야할 논문과 글들이 50편 정도 있다. 여기서 선택한 1권의 책... 그건 "시골의사의 주식투자란 무엇인가? 1. 통찰편"이다.

대략 구매한지 1년쯤 되었나.. 시골의사를 개인적으로 매우 좋아해서 나오기도 전에 예약구매로 사놨던 책인데.. 손이 안갔다가 최근 "무릅팍 도사"에 나온 박경철을 보고서 나한테 남은 일종의 빚이라 생각하고 책을 들었다.

왜.. 이렇게 장황하게 이야기하냐 하면.. 1년전에 봤어야 할 책을 지금에서야 봤다는 아쉬움 때문이다.
---
아 아쉽다.~~ 조금더 일찍 봤더라면 펀드나 주식에서 손해는 덜 봤을텐데..

시골의사에게는 세상을 보는 조금은 명쾌한 프레임(Frame)이 존재하는 것 같다. 
그는 세상의 이면에 존재하는 실제적 권력에 대해 최대한 있는 그대로 보여주려고 하고 있다. 
특히, 자본주의가 가진 구조적 문제점과 실제적 허구에 대해서 해박한 지식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그는 보통사람이 주식투자를 한다는 건 거대한 시장에 홀로 싸우는 무모한 행동이라고 강력하게 경고하고 있다.
중고차를 사더라도.. 이것저것 알아보고.. 특히 집적 타보고 살펴보는 것을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주식을 살때? 회사를 살펴보고 만나보고 그리고 꼼꼼히 살만한 주식인지 살펴보는 사람이 얼마나 되는가??

주식 투자란 이렇게 무모하다..
특히, 주식 시장에서 "나"란 존재는 무수히 많은 고수들에겐 먹이감에 불과하다.

이런데도. 아무생각 없이 투자한다.
이런 환경에서 난 어떻게 해야 할까?
"박경철"은 해답은 아니지만.. 최소한의 가이드는 제시해주려고 한다.

 이제 투자를 시작한다면 무조건 이 책은 꼭 읽고 자본 전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지 나 자신을 냉철하게 평가해 보기 바란다.

-------------------------
2. 집단지성이란 무엇인가?

요즈음 개인적으로 가장 많이 관심을 가지고 고민하는 단어를 좀 열거해 보면..
지식, 지식네트워크, 사회연결망, 지식관계, 지식노동자, 전략적 네트워크, 네트워크 중심성, 브랜딩, 신뢰, 몰입, 상호관계... 등등이다. 이런 단어들과 조우하다 보면.. 중요한 키워드로.. "집단지성"이 들어오곤했다.

집단지성.. 처음 단어를 접할때는 집단에 의해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현상을 이야기 하는줄 알았다. 크게 다른말 같지는 않지만, 오히려 객체 지향에서 이야기 하는 점증과 반복의 방법론에 따른 집단에 의한 지식의 진화라는 표현이 더 맞을 듯 하다.

지식네트워크에 대해 본격적인 연구를 진행해 보겠다고 마음을 먹은 상황에서..
집단지성의 현상은 많은 것을 고민하게 만든다. 

책에선 이런 집단지성의 현상을 자세하게 이야기 하고 있다.
저자가 책에서 이야기 했던 ProAM(프로페셔널 수준의 아마추어)현상이 집단지성을 더욱 긍정적으로 이끌고 있다.

ProAm은 누구나 다양한 정보를 노출시키고 연구하며 전문가 보다 더 전문가 다운 아마추어를 이야기한다.
집단지성은 이런 ProAm들이 만들어내는 "지성의 환희의 장"이다.

Web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현상을 근본적으로 이해하고 싶다면 집단지성이 무엇인지 꼭 살펴봐야 할 책이다.

-------------
3. 링크의 경제학

평범한 책이다. 링크라는 주제로 Network에 대한 다양한 주제가 있을거라 생각했는데..
Web에서 벌어지는 현상을 현상으로만 이해하고 실무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돈주고 사기엔 아까운 책..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