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그 유용성이 너무 많이 증빙되어 더이상 사용해서 연구에 어떤 공헌이 있는지 의문이 생길정도로 진부한 주제가 되었다고 할수 있다.
상세한 내용은 http://www.noton.kr/613을 참조하시길.. TAM2, UTAUT도 나와있다.
---
□ 정보기술수용모형(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1)
정보기술수용모형(Davis et al., 1989)은 사회심리학분야의 합리적 행위이론(theory ofreasoned action: TRA)을 기초로 정보기술이용자의 행위를 설명하고 예측하려는 모델이다. 이 모델은 합리적 행위이론에서의 행위에 대한 태도와 행위의도간 관계를 정보기술이용자의 정보기술채택 연구로 확장한 모델이다(Davis, 1989; Adams et al., 1992; Agarwal and Prasad, 1997; Lederer et al., 1998). Davis는 정보기술 수용의 주요 관련 변수로 인지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과 인지된 이용용이성(perceived ease of use) 변수를 사용하여 이에 의해 형성된 태도가 행동의도를 매개변수로 실제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정보기술이용자는 정보기술과의 상호작용이 쉬울수록 정보기술에 대한 자신감(Bandura, 1982)과 정보기술에 대한 통제수준이 높아지고, 이것은 정보기술이용에 대한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Lederer et al.(1998)은 웹에 대한 지각된 이용용이성이 웹에 대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으며, Taylor and Todd(1995a)도 지각된 이용용이성과 이용에 대한 태도간 유의적인 관계를 주장하였다.
정보기술에 대한 지각된 이용용이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은 수단적인 부분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러한 이용용이성이 향상되면 성과도 향상될 수 있다.즉 정보시스템 이용자가 정보시스템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이용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면, 노력을 절감할 수 있고,동일한 노력에서 더 높은 성과를 낼 수 있다.지각된 이용용이성이 향상되면 성과를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지각된 이용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직접적인 효과를 미칠 것이다. 그래서 TAM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이용용이성은 별개이지만 관련된 구성개념으로 보고 있다(Davis et al., 1989).
정보기술수용모형에 기초한다면, 인터넷 쇼핑의 이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이용용이성일 것이다. 즉, 인터넷 쇼핑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과 인터넷 쇼핑에 대한 지각된 이용용이성은 인터넷 쇼핑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태도는 인터넷 쇼핑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TAM을 지지한 연구를 살펴보면, Mathieson(1991)은 TAM을 TPB와 비교하여 모델의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Adams et al.(1992)의 연구는 대상 정보기술을 달리하여 사용자의 과거 사용경험, 사용자 특성, 시스템 사용의 전문성이나 유형, 과업특성을 요인으로 언급하면서 TAM을 검증하였다. Igbaria et al.(1996)은 PC를 대상으로 외부변수(기술, 조직지원, 조직이용도)와 매개변수(복잡성, 유용성, 즐거움, 사회압력)로 구성된 복잡한 동기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이 변수들은 PC이용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냈다.
Allen(1999)은 Micro Computer 사용에 있어 유희성(playfulness)이 혁신특성변수(상대적 이점, 적합성, 시행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며 태도와 수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검증되었다. Moon and Kim(2001)은 WWW 상황하에서 유희성 변수를 추가하여 TAM을 확장한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이 결과, 이용용이성이 유희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혔으며 특히 유희성의 경우 이용용이성보다 사용자의 태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하였다.
TAM을 수정한 연구들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TAM의 핵심인 유용성과 이용용이성, 그리고 종속변수인 이용도는 그대로 포함하였으나, 외생변수들을 구체적으로 삽입하거나 혹은 태도 외의 매개변수인 주관적 규범과 지각된 행동통제를 추가하여 모형을 확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Adams, D.A., R.R. Nelson and P.A. Todd(1992), "Perceived Usefulness, Ease of Use, and Usage of Information Technology : A Replication," MIS Quarterly, 16(2), 227-248.
Agarwal R. and Prasad, J.(1997), "The Role if Innovation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Voluntariness in the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Decision science, 28(3), 557-582.
Bandura(1982), "Self-Eval!uative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2), 122-147.
Davis, F.D(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39.
Davis, F.D., R.P. Bagozzi and P.R. Warshaw(1989),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 Management Science, 35(8), 982-1003.
Igbaria, Magid F. Pavri and Huff(1989), "Microcomputer Application: an Empirical Look at Usage," Information and Management, 14(4), 187-196.
Lederer, A.L., J.M. Donna, P.S. Mark, and Z. Youlong(2000),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he World Wide Web," Decision Support Systems, 29, 269-282.
Mathieson, K.(1991), "Predicting User Intentions : Compar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ith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3), 173-191.
Moon, J.W. and Y.G. Kim(2001), "Extending the TAM for a WWW Site," Information and Management, 38, 217-230
Taylor, S. and P. Todd(1995), "Assessing IT Usage : The Role of Prior Experience", MIS Quarterly, 19(December), 561-570.
1) 오상현, 인터넷쇼핑에서 고객 수용요인에 관한 연구, 고객만족경영학회, 제5권 2호, 2003.12, pp. 1-32.
- Total
- Today
- Yesterday
- 영어
- IS theory
- 펀드
- 사상의학
- SNS
- 투자
- 와인
- Social Network Service
- 태음인
- 등산
- 경영전략
- 사회연결망
- 책읽기
- ETF
- 영어표현
- Final Exam
- HR
- M&A
- 논문
- 프로젝트 관리
- 공모전
- 조직
- social network
- 프로젝트관리
- 주식투자
- 교육
- 구본형
- 주식
- 경영
- an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