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구글이 수순대로 H/W 업체를 인수했다.
구글의 기본적략인 구글 생태계 전략은 S/W만으로 한계가 있다.
 
M/S가 Windows를 통해 S/W 생태계는 구축했지만, 세상의 룰은 계속 바뀌게 되고, 완벽한 종속을 만들어 내긴 힘들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또한 애플은 ipod/iphone을 통해서 H/W를 통해 세상의 룰을 바꿀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구글은 효과적으로 M/S와 애플을 벤치마킹하고 있다. 그들의 성공방법에는 H/W업체 인수는 당연한 수순이다.
역시 구글이다. 거의 망한 모토롤라 기술과 역량을 다시 살릴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구글이라는 점에서..
매우 효과적인 전략이다.

그렇다면 누가 가장 혜택을 보고, 피해를 볼까?

가장 큰 해택은 "노키아"와 "MS"라고 할 만하다.
스마트폰과 패드에서 존재감이 없던 노키아는 "애플"과 "안드로이드"의 양강구조를 깰수 있는 기회를 발견했다.
실제로 가능할까?
 비슷한 예는 많다. LG전자는 LG유플러스라는 통신사를 가지고 있는 덕분에 삼성전자보다 더 쉽게 휴대폰 사업을 했다고 볼수 있다. 그런데 삼성은 세계1위로 등극했고 애플의 강력한 경쟁자가 되고 있다. 삼성은 누구에게나 휴대폰을 팔수 있지만, LG전자는 LG유플러스를 위해서 휴대폰을 만들어야 했고, LG유플러스는 LG전자의 쓰레기 폰도 판매해야 했다.
 이런 관점에서 구글은 안드로이드를 주로 모토롤라에 집중할 것이다. 그렇다면 LG전자-LG유플러스와 뭐가 다를까?

가장 많은 피해는 "LG전자"라 하겠다.

"LG전자"는 시장에 뒤쳐져 있다. S/W역량도 부족하고 스마트폰 품질도 부족하며, 삼성과 애플에 비해 브랜드 인지도도 형편없다. 더욱더 마케팅 능력도 떨어진다. 이런 상황에서 안드로이드를 통해 H/W 역량을 끌어올리는 전략을 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데 S/W 역량 없인 게임을 할 수 없는 상황으로 게임의 룰이 급변하게 되었다.
 애플과 MS를 끊임없이 따라하는 삼성전자는 S/W역량이 필요성을 조금더 일찍 고려했다는 점에서 "bada"의 가능성을 계속 열어놨던 것이고, 실제 OS역량은 S/W 역량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LG는 무엇을 준비하고 있는가?

상황이 점점 LG전자에 불리하게 흘러간다. H/W 성능은 최근 많이 따라왔는데, 아직 Hit 상품이 없고(나올수 있을까?), S/W는 이제 걸음마를 시작한 단계(OS 업그레이드 역량을 보면 이해가 될듯하다. 최근 삼성전자는 끝낸 진저브래드 업그레이드가 왜 안될까?) 인데.. 구글의 모토롤라 선택은 내부적으론 충격일수 밖에 없다.

구글의 모토롤라 인수 성공할 수 있을까?
80~90%는 성공이 가능할 것이다. 구글이 가진 S/W Power와 OS역량은 애플의 그것보다 더 좋다. 그런관점에서 H/W역량이 모토롤라에 아직 남아있다면 문제가 없을 것이다. 특히 기존 구글폰을 HTC와 삼성전자를 통해서 출시했을때 반응을 추론컨데 모토롤라는 성공할 것으로 보인다.

이제 세상은 H/W, S/W적으로 "구글"과 "애플"그리고 나머지로 개편될 수밖에 없는가?

만년 2등, 최근엔 3등이 되어버린 LG가 이런 현실을 타게해 낼 수 있을까? 재미있는 일이다.



-----
미국의 인터넷기업 구글이 휴대폰 제조업체 모토로라 모빌리티를 인수하기로 전격 결정함에 따라 구글의 안드로이드 OS(운영체제) 제품 생산에 주력하고 있는 국내 휴대폰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애플 등의 특허 공세를 막기 위한 조치인 만큼 당장의 큰 변화는 없겠지만, 구글과의 ‘무한한’ 협력관계가 변하고 있어 중장기적으로는 악재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국내 업체들은 최악의 상황을 고려한 다각화된 OS 전략이 필요하다고 보고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삼성ㆍLG도 ‘환영’(?)… 그러나 국내 업체 타격 불가피
=15일 구글의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수와 관련, 래리 페이지 구글 CEO는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구글플러스에 파트너사 대표들의 축하 메시지를 공개했다.

최대 파트너사인 삼성전자 신종균 사장은 “구글이 깊이 헌신한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말했고, LG전자 박종석 MC사업본부장(부사장)도 “안드로이드와 파트너를 보호하려는 구글의 헌신을 환영한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애플, 오라클, 마이크로소프트(MS), 로드시스 등 경쟁사들의 특허 공세에 구글이 적극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내 휴대폰업체 수장들이 일단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구글 안드로이드는 39개 제조사와 231개 통신사의 지원으로 매일 전 세계에서 55만대의 관련 제품이 개통되고 있다. 이에 출시 3년 만에 43.4% OS 시장 점유율(IDC, 2분기 기준)로 노키아 심비안(22.1%), 애플 iOS(18.2%)를 압도하고 있다.

페이지 구글 CEO가 “안드로이드는 앞으로도 무료로 공개될 것”이라고 했지만 시장은 장기적으로 안드로이드 동맹이 느슨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16일(현지시간) 핀란드 헬싱키증권거래소에서 노키아의 주가는 9.1% 급등했다. ‘불타는 플랫폼’ ‘추락하는 휴대폰 공룡’ 노키아의 이 같은 상승폭은 2010년 이후 최대로 알려졌다. 블룸버그통신은 구글 안드로이드 OS 연합의 약화 전망이 주가 상승에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금’ 간 신뢰관계, 국내 업체 OS 전략 재정비=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생산에 주력하고 있는 삼성전자, LG전자 등 국내 업체들 역시 ‘환영한다’는 공식 입장과 달리 내부적으로 구글의 의도 파악과 적극적인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국내 한 휴대폰업체 관계자는 “혼자서 애플과 상대하긴 쉽지 않다는 사실을 더욱 절감하게 될 것”이라며 “자칫 파트너사들을 자극해 (파트너사들이) 독자 OS 개발을 강화하거나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협력을 강화할 경우 득보다 실이 많다는 계산도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팬택 관계자도 “달라질 게 전혀 없다. 오히려 안드로이드 진영 관련 특허 소송 쪽에서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국내 업체들 대부분은 구글과의 관계가 변하고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 아울러 구글과 모토로라가 강력한 히트상품을 만들어낼 경우, 기존 파트너사들에 대한 지원을 줄일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극단적인 경우지만 애플처럼 폐쇄 정책으로 전환, 무료 OS 정책을 철회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 휴대폰업체 관계자는 “구글이 아직 자신의 생태계를 확산시켜야 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시장을 극단적으로 몰고가긴 어려울 것”이라면서도 “내부적으로 구글의 인수 의도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현 단계를 예의주시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휴대폰업계는 이번 사건이 앞으로 삼성전자가 독자 OS인 ‘바다’ 플랫폼의 경쟁력 강화에 더 많은 투자를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LG전자 역시 OS 다각화와 함께 ‘독자 OS 개발은 없다’는 기존 입장을 재검토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