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쯤 뒤.. 우리의 모습을 보면.. 한국은 그때쯤.. 3만불 개인 GDP로 제대로된 선진국이 되어 있을것이다. 일본도 쭉 앞서나가 있을것이다. 하지만.. 그 이면엔 중국의 눈부신 성장이 든든하게 뒷받침 하고 있을 것이다. 일부 연구에 따른면 한국의 GDP을 만들어 주는데 30%이상이 중국이라고 한다. 10년쯤뒤.. 한국이 중국없이도 선진국 될수 있을까?? 대한민국 각 영역에 분포되어 있는 인재들 중 친중파 비중은 점차 커질것이고, 아시아에서 의사결정은 중국의 동의없이도 가능할지 모르겠다. 그때쯤.. 우리 아이들은 대학원 유학목표로 청화대와 북경대를 하버드와 MIT, 스탠포드 수준에서 논할 것이고, 유능한 실력파 인재들은 사업을 위해 북경과 싱가폴에서 비행기로 매주 왔다갔다 할것이다. 10년쯤 뒤.. ..
중국시장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가져 볼만하다. 시장이 많이 하락하고 여러 악재가 많지만.. 장기적으로 중국만한 시장이 있을까? 돈벌려면 장기적으로 가야한다. --- 2007년은 중국주식의 광풍이 불었던 한해이다. 1000P에서 시작하여 불과 1년정도 만에 6000P까지 하는 기염을 토해냈던 중국이었다. 올해는 중국증시가 조정을 받고 있는 상황이지만 여전히 중국증시에 대한 관심이 높은 상황이다. 하지만 2007년처럼 무조건적인 중국주식 따라하기는 이제 한계에 부딪힐 것으로 보여 이제부터는 중국주식에 대한 지식이 없이는 백전백패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그래서 중국증권시장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 및 왜 증권시장인가? 라는 주제로 몇자 이야기해볼까 한다 우선 중국증시는 1891년에 설립된 홍콩증권거래소와 1990..
중국 그역사를 보자.. 중국은 과거로 부터 끊임없는 역성혁명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나라다. 하은주 시대이후로 역성혁명은 백성에 대한 하늘의 뜻으로 받아 들여졌고 정치를 잘 못할때는 당연히 해야 할 것으로 인식되어온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렇듯 중국은 극단적 붕괴를 경험하며 성장해온 국가이다. 최근 중국의 경제적, 사회적 현상을 보면 과거 중국이 붕괴하던 과정과 별반 다르지 않다. 급등하는 물가로 인해 경제 전반에 영향을 주고, 정치적 폐단이 급증하며 치안은 극도로 불안해 지고, 빈부격차의 급경한 상승은 중국 전체의 문제가 된지 오래이다. 공산당이 가진 인민우선의 가치는 더이상 존재하지도 않고 당독재라는 틀에서 중국전체의 발전에만 고무되어온 공산당의 극단적 자아도취는 이제 끝나가는 걸까? 최근의 급등이후 ..
- Total
- Today
- Yesterday
- 와인
- 논문
- 사회연결망
- 사상의학
- social network
- HR
- IS theory
- 투자
- 영어
- SNS
- 공모전
- ant
- 등산
- 경영
- 경영전략
- ETF
- 교육
- 프로젝트 관리
- 주식
- 펀드
- 책읽기
- 주식투자
- 조직
- 영어표현
- 프로젝트관리
- M&A
- Final Exam
- Social Network Service
- 구본형
- 태음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