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이라는 단어 = 편집증 이라고 생각되었다. 아니.. 항상 완벽보다는 "대충"이라는 단어가 더 쉽게 입에서 오르락 내리락 하는데.. 사실.. 대충으로의 충동이 더 인간적인게 아닐가?? 그러나.. 정진홍은 완벽에의 충동이 본능적이라고 이야기한다. 나에겐 괘변같은 이야기다. 앗.. 이책의 내용을 읽으면서 왜 공감이 가는걸까? 한사람 한사람 살아왔던 이야기를 토막된 글로 나열한 책이라고 생각했는데.. 어떤 그럴듯한 자기계발서 보다 더 생명력이 있다. 누군가 걸어갔던 삶의 길을 이야기 하기 때문이라서 그럴까? 지하철 내내 눈이 다른쪽으로 가질 않는다. 한사람 한사람의 이야기가 눈앞에서 어른거린다. 짧은 이야기는 눈물마저 보이게 하곤한다. 아.. 평범한 책이라고 생각했는데.. "완벽"으로 가는 그 본능적 욕..
일본식 경영의 힘은 무엇인가? □ ‘잃어버린 10년’의 불황을 극복한 일본 제조업의 경쟁력 이해를 위해서는 일본인이 존경하는 3大 기업가에 대한 이해가 필수 ○ 대부분 선진국이 산업의 선진화에 따라 서비스 산업 비중이 높아지고 제조업 비중이 10%대로 감소한 데 반해 일본은 제조업 비중이 20%대를 유지 ○ 일본 제조업이 강한 경쟁력을 일본 특유의 문화, 제도, 및 사회시스템 등으로 설명하려는 노력들이 있지만 논리적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부분이 존재 ○ 일본인이 가장 존경하는 3大 기업가의 생애, 경영철학, 그리고 조직운영에 대한 이해는 일본 제조업의 강점을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 □ ‘경영의 神’ 마쓰시타 고노스케, ‘기술의 天才’ 혼다 소이치로, ‘CEO가 존경하는 리더’ 이나모리 가즈오는..
웰치(jackwelch)는 1935년 메사추세츠 피바디에서 태어나서 살렘에서 어린시절을 보냈습니다. 1960년 일리노이 대학에서 화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같은 해에 GE에 입사해 처음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했습니다. 수년 동안 자신만의 독특한 사업및 경영 방식으로 승진을 거듭한 그는 1981년에 마침내 GE의 최연소 회장이 되었습니다. 이때부터 GE는 완전히 새로운 조직으로 태어나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각 사업부를 대상으로 '고쳐라, 매각하라, 아니면 폐쇄하라'라는 전략을 통해 10만명이상의 직원들을 해고하면서 '중성자탄 잭'이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구조조정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또한 6시그마, 세계화, e비즈니스 등의 전략을 통해 GE를 세계최고의 기업으로 우뚝 서게 만들었습니다. 지금은 은퇴..
- Total
- Today
- Yesterday
- 프로젝트 관리
- IS theory
- 경영
- 투자
- 영어
- 등산
- 사회연결망
- 영어표현
- 펀드
- Social Network Service
- social network
- 책읽기
- 주식
- Final Exam
- 주식투자
- 조직
- 경영전략
- HR
- 공모전
- M&A
- 태음인
- ant
- 논문
- ETF
- 사상의학
- 구본형
- 프로젝트관리
- SNS
- 와인
- 교육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