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하는 교수사회.. 정말 변화할 수 있을까? 그 중심에는 서남표 총장이 있다. 세계 최고의 대학에서 오랫동안 최고의 성과를 얻었던 서남표 총장께서 한국의 KAIST를 변화시키고 있다. 역시.. 우리사회는 히딩크 같은 외부인사를 통해서만 변화할 수 있는것일까? 서남표 총장은 한국인이지만, 외국에서 명장으로 알려져 있는 유명한 학자이고 세계를 무대로 뛰었던 분이다. 그렇다면 한국 교수사회에 있어 히딩크와 같은 역할을 할 인물이라는 이야기인데.. 그 역할을 기대해 본다. 교수사회의 개혁은 우리 사회의 전체 시스템의 개혁과 그 획을 같이한다. 한번 보자.. 철밥통 같은 교수사회에서 교수들이 정치인이 되고 고위공무원이 되어 행정조직의 부패를 가속화하고 경쟁없는 교수들이 사회의 주요 핵심 브레인이 되어 사회 시스템..
[도서]후지쯔 성과주의 리포트 조 시게유키 저/윤정원 역 | 들녘 | 2005년 10월 내용 편집/구성 이 책을 읽은 것은 2006년 성과주의에 대한 묵상(?)을 해야만 했던 개인적 관심때문에 시작해서 단 하루만에 전부 읽어 버린 흥미있는 책이다. 왜 이런 강렬한 인상을 주었을까? 1. 일본과 한국은 너무 닮았다. 2. 후지쯔는 우리나라 IT관련 대기업(삼성,LG 등등)과 너무 닮았다. 3. 인사부서 수준이 기업의 수준이라는 개인적인 견해를 강하게 뒤받침해 준다. 4. 책을 쓴 저자와 동갑이다. 5. 일본 회사에 다니는 친구에게서 일본기업의 문화를 들었다. 6. 한국 후지쯔의 최근 어려움을 알고있다. 7. 후지쯔 노트북을 쓴적이 있다.... 등등 이것 말고도 많이 있겠지만.. 요약해 보면 첫째, 우리 나..
- Total
- Today
- Yesterday
- 사상의학
- 책읽기
- 사회연결망
- 교육
- HR
- IS theory
- Final Exam
- 프로젝트관리
- 등산
- social network
- 구본형
- 경영
- 프로젝트 관리
- 주식투자
- 와인
- 투자
- 영어표현
- 태음인
- ETF
- ant
- 경영전략
- 공모전
- SNS
- 영어
- 펀드
- 조직
- Social Network Service
- M&A
- 논문
- 주식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