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서바이벌 트랜드.. 생존 2020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서바이벌 트랜드.. 생존 2020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701)
    • Life - 생존 선택 (557)
      • 에쓰팀으로 살아남기 (36)
      • 비즈니스 전략 (256)
      • 사업가 되기 (16)
      • 인간 되기 프로젝트 (116)
      • English (67)
      • 주식 (66)
    • 유쾌한 것들 (144)
      • 잡스럽지만 즐거운 것들 (67)
      • who am i ? (0)
      • 즐거운 일상 (42)
      • 건강과 비법 (29)
  • 방명록

Life - 생존 선택/사업가 되기 (16)
'전 국민 소득 6분의 1' 상위 1% 수입보니 from 중앙일보

우리 사회의 단면을 보여주는 정보. 한국의 미국화의 단면.. 이대로 갈것인가? 기회가 무엇일까? -- 소득세의 43.9% 부담 미·영보다 높아 국세청·통계청 자료 분석 더 편리해진 뉴스공유, JoinsMSN 뉴스클립을 사용해 친구들과 공유하세요 우리나라의 소득 상위 1%가 전체 소득의 16.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미국(17.7%) 다음이다. 그만큼 ‘부의 쏠림’ 현상이 심하단 뜻이다. 22일 한국조세연구원은 우리나라 소득 상위 1%가 한 해 버는 돈이 38조4790억원으로, 전체(231조9560억원)의 6분의 1을 차지한다고 밝혔다. 상위 1%의 기준은 연 소득금액 1억원 이상으로 모두 18만 명으로 추산됐다. 이는 2006년 국세통계연보를 분석한 결과다. ..

Life - 생존 선택/사업가 되기 2012. 4. 23. 09:03
하시모토 토오루.. 그를 통해 일본의 현실을 보다.

하시모토 토오루.. 현대 일본의 현실을 읽을수 있다. 문뜩.. 히틀러가 생각나는건 왜일까? 피폐했던 독일을 극우적 파시즘으로 극복하려 했던 히틀러.. ㅎㅎ 역사는 되풀이 된다던 이야기.. 틀리지 않다. 일본의 현실은 이제 다시금 극우적 사고에서 시작할 수 밖에 없는것인지도 모르겠다. --- 하시모토 토오루.. 그를 주목한다. 우리의 대중적 현실에서 토오루는 어쩔수 없는 등장인물일듯 하기 때문이다. --- 하시모토 토오루에 관한 기사 몇편을 살펴봤다. 역시 뉴스데일리는 믿을만한 뉴스는 아니다. 논리의 비약이 곳곳에서 보인다... 뉴스는 팩트가 중심아닌가. 거참. 암튼.. 토오루를 보면 기존정치세력과 교묘하게 선을 긋는 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며, 자신의 입지를 새롭게 구축하고 있다. 또한, 법률적 근거만을..

Life - 생존 선택/사업가 되기 2012. 1. 25. 21:11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열풍…구글ㆍ페이스북 창업한 `플러그&플레이` 입주경쟁 from MK

미국이 선진국인 이유는 이런거 아닐까? 한편에선 월가의 탐욕과 정치권의 유착, 거짓이 판치는 정치판이 득세하지만, 다른 한편에선 애플과 구글과 같은 창조적 혁신기업이 등장하고 아이디어로 창업이 가능한 그런 실리콘밸리가 있는 미국. 그런 미국이 부럽다. 한국의 젊은이는 그런 미국으로 떠나야 할까? 그렇게 해서 많은 한국 젊은이들이 성공하고 한국에 그런 문화를 만들어 줬으면 좋겠다. 나도 언젠가 그곳에 있으리. --- "잡(일) 구할 때 `아이 케임 프롬 MS(마이크로소프트 출신입니다)`보다는 `아이 케임 프롬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출신입니다)`이라고 하면 한 번 더 쳐다 봅니다." 서울과학고와 코넬대를 거쳐 시카고대에서 MBA(경영학 석사)를 받은 정재훈 씨(35)는 한국 유수 대기업의 스카우트 제의를 ..

Life - 생존 선택/사업가 되기 2011. 12. 18. 21:46
카카오톡 만든 이 남자 "악착같이 살지마" 의외의 조언 - 그대로 믿지마.. 제발

가끔 이런말 들으면 짜증난다. 아니.. 너무 무책임하다. 오래된 절에서 오랜 수련을 한 고수 혹은 고승이 인생 살아가는게 별거 없다 하다고 하면. 보통사람들은 그 내공을 이해하지 못한체.. 그저 겉모습만으로 별거 없는 인생을 살수도 있다. 아니 그게 전부라고 믿게 된다. 김범수의 "악착같이 살지마"라는 조언은 그런 고수의 이야기다. 정말 그럴까? 본인은 오랜 기간동안 악착같이 살아왔으면서.. 그래서 뭔가를 이루었으면서(한게임, NHN 등) 그리고 또 이루었으면서(카카오톡).. 이젠 다른 사람은 "악착같이 살지마"라고 한다면.. 어찌 그걸 이해할 수 있을까? 거참.. 그저 무책임하는 말뿐.. 돈오를 꿈꾸는가. -- 카카오톡 만든 이 남자, "악착같이 살지마" 의외의 조언 [대한민국 대표선배가 ‘88만원 세..

Life - 생존 선택/사업가 되기 2011. 10. 19. 12:35
안철수 - "다시 부는 세계적 IT붐…한국만 쏙 빠져" from Hani.com

한국에서 벤처는 어떤의미일까? 패배자 양산, 무의미한 도전, 그리고 절망.. 1990년대 초반의 벤쳐붐 이후로 우리사회는 급속하게 보수화 되었다. 그렇게 맞이한 2011년.. 20년도 체 안되는 사이에. 미국은 IBM, GE, MS보다 구글, 애플, 페이스북이 헤게모니를 쥐고 있는데. 한국은 그대로다. 여전히 삼성, 엘지, SK, 현대가 우리사회를 지배한다. 한국이 점차 일본화 되는건 분명하다. 지진만 없을뿐.. 다른게 별로 없다. -- 한국의 튼튼한 벤처와 중소기업이 많아지려면.. IT산업 특히, 부품산업과 S/W산업이 발달해야 한다. IT부품이 발달한 일본의 저력은 지진과 원자력으로 국가적 비상사태에서 더 놀라울 정도로 나타난다. 일본 IT부품이 없어 아이패드 조차 생산이 지연되고 있으니, S/W 산..

Life - 생존 선택/사업가 되기 2011. 3. 25. 17:03
[스크랩] 구본무 회장 "원천기술 위한 R&D 50년이 걸려도 해야" from MK

CEO의 생각을 읽어보자.. 요즈음 하는 생각이다. 회사의 Owner라면 무슨 생각을 할까? 내가 Owner라면 어떻게 행동할까? LG는 SS에 비해 상대적으로 만년 2등 기업이란 이미지가 존재한다. 특히 기술수준으로 봤을 땐 정말 2등기업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때도 있다. 특별히 전자부품은 일본을 LG나 SS가 따라 가려면 아직도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구회장의 R&D 관점은 이런 현실적인 이유와 일본 부품소재기업이 많은 이익을 창출하는 이유가 기술 중심의 첨단기업이라는 인식에서 출발했을것 같다. 특별히 성장형 인재(즉, 상명하복식 인재)보다는 자율형인재(즉, 창의적 사고를 보유한 인재) 양성을 더 주문한것도 그런 맥락일듯 하다. 임직원의 자율과 창의를 통해 R&D의 간격을 넘어서려는 것.. 그..

Life - 생존 선택/사업가 되기 2010. 2. 11. 20:56
이전 1 2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마인드툴 - 지식거래 (MindTools)
  • Web 2.0 Asia
  • Jinwon Hong\'s Blog
  • Taming the spaces
  • Perspectives on Social Computi…
  • 하이컨셉 & 하이터치
TAG
  • 사상의학
  • 영어표현
  • 태음인
  • 경영
  • 투자
  • ETF
  • 주식
  • 와인
  • Social Network Service
  • 공모전
  • HR
  • 프로젝트관리
  • 교육
  • 주식투자
  • social network
  • 영어
  • Final Exam
  • M&A
  • 책읽기
  • 펀드
  • 구본형
  • ant
  • 경영전략
  • 프로젝트 관리
  • 등산
  • SNS
  • 사회연결망
  • 조직
  • IS theory
  • 논문
more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