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ing Information Technology in Organizations: Research Approaches and Assumptions, Orlikowski, W. and Baroudi, J.,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1), 1991, 1-28. -- IS연구에 대한 보편적인 입장은 실증주의적이다. 논문을 쓰려면 논문을 받아주는 사람들의 입장이 먼저여야 한다. 당연하지 않은가.. 그렇다면 IS연구의 주요 입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핵심적으로 IS연구는 실증주의와 해석주의로 나눌수 있다. 현재는 대다수 실증주의 입장이 대부분의고 해석주의적 접근이 많지 않으나, 실제로는 해석주의적 접근도 필요하다. 특히 저자는 비판적 연구도 필요하다고 주장하나 그 논증적..
Researching MIS, Allen S. Lee, Rethiking MIS, Oxford Pub., 1999 -- MIS 연구를 접근하는 방법으로서 positivism은 98% 이상을 나타낼 정도로 연구의 대부분을 찾이하고 있다. 한쪽으로의 편식은 분명 문제가 발생한다. MIS연구에 있어 Interpretativism은 새로운 이론을 만들어내고 실제 현실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연구방법이다. -- MIS의 4가지 상호연관 영역 - IT instantiation : Organizational & political process : Managing, maintaining, changing information - IS & Its Organizational Context : Either enhancing e..
Can the Field of MIS be Disciplined?, Banville & Landry, CACM, 1/1989, Vo.32, No.1, pp.48-60 -- MIS가 학과가 될수 있을까? 당연히 되어야 한다. (MUST be Yes) 그리고 학문분야다. (It is disciplined) 그러나 현실적으로 MIS의 다양성은 학문분야라는 사실을 쉽게 확정짖기 어려운점이 존재한다. 일반적인 학문적 발전과정은 쿤의 패러다임 이론에 의해 설명된다. 쿤은 축적된 과학적 사실과 영향이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게 된다는 사실을 직시하고 과학적 혁신은 누적된 축척에 의한 혁신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즉, 어느날 갑자기 된진 않는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쿤의 패러다임 이론은 매우 수용가능한 모델이고 대다수 사회..
MIS Research: Reference Disciplines and a Cumulative Tradition, P. Keen,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9-18. 1980 -- MIS분야는 학문적으로 자리를 잡아 갈 수 있을까? 경영학과에 속해있는 MIS전공이 최근에 다양한 전공 명으로 변화하고 있다. 경영정보학, e-비즈니스학, 정보시스템학, 정보경영학, 디지털학, 디지털비즈니스학 등. 그러나 다양하게 변화하는 전공명처럼 MIS자체의 정체성에 대한 의문은 끊이지 않는다. 1980년대 초반에 MIS라는 학문을 구체적으로 정립하기 위해 노력했던 산물이 본 논문이다. MIS분야를 학문적으로 완성시키..
A Framework for Research in Computer-Base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B. Ives, S. Hamilton, G.B. Davis, Management Science, Vol. 26, No. 9, September, 1980. -- MIS연구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있다. 기존의 다양한 MIS연구결과를 정리하고 이를 통해 MIS연구의 새로운 Framework을 제공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논문에서 제시된 IS Reearch 모델은 조직내 IS연구의 대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나, 조직간(Inter-Organization)에 관한 접근은 현재 시대에 필요한 영역이 아닐까 판단된다. 기존의 5개의 MIS 관련 프레임워크를 정리해서 3개의 영역..
A Framework fo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G.A. Gorry, M.S. Scott, Sloan Management Review, Fall 1971. --- 공부하는 사람에게 연구하는 분야를 설명하라는 질문을 받으면 난감한 경우가 생긴다. 이럴때, Framework은 그것을 바라보는 좋은 View Point가 된다. MIS를 연구하는 사람에게 제공되는 Framework은 매우 많다. 그중에 기업의 의사결정과 운영 전반을 쉽게 설명하고 분석하기에 Gorry&Scott의 분석틀은 유용하고 써먹을 곳이 많다. Warren.pak --- - Gorry&Scott은 MIS 분야의 효율적인 자원할당이 가능한 Framework을 제시하고 정보시스템 구현상 발생하는 문제점에 ..
Management in the 1980’s, H.J. Leavitt and T.L. Whisler, Harvard Business Review, November-December 1958 -- 1958년 그 당시의 시대상은 어땠을까?? 한국의 1958년은 폐허가 되어버린 수도와 밥한끼 먹으려고, 어떻게든 살아보려고 발버둥쳤던 그런 시대였다.그런 1958년 Leavitt과 Whisler는 HBR에 IT(정보기술)이라는 단어를 처음사용하고 새로운 기술에 의해 미래를 예측하고 있다. 1980년 대략 20여년이후의 세상은 어떻게 변해있을가?? 논문에서는 조직에서의 Top Managemnt(경영층)과 Middle Management(중간관리층)이 IT에 의해 어떻게 변화를 가져올지를 논하고 있다. IT에 의해서 ..
Acronym ST Alternate name(s) Theory of structuration, Structurationism Main dependent construct(s)/factor(s) Structure (signification, domination, legitimation), social system. Main independent construct(s)/factor(s) Modalities (interpretive scheme, facilities or resources, norms or rules); interactions (communication, power, sanction); consciousness (discursive, practical, unconsciousness); kno..
3. 안토니 기든스 (1) 구조화 이론 1) 구조(structure)와 행위(agency) 양자의 관계(성)에 대한 기존 이론들의 한계 지적 ① 구조기능주의와 구조주의로 대표되는 결정론적 구조주의의 입장의 한계 - 결정주의적 구조이론의 틀은 기본적으로 뒤르케임식의 ‘사회 대 인간’의 도식을 수용하여 구조를 실체화(형상화)함으로써 구조와 개인 간의 역동적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가능성을 닫아버림 ② 자원론(voluntarism), 곧 베버식 사회학의 전통을 갖는 ‘이해사회학(interpretive sociology)의 한계도 지적 - 개인의 유의미한 행위를 중시하여 개인의 행위와 의미 간의 관계를 미시적으로 설명하여 구조주의적 입장의 문제를 극복하려고 하지만, 그 의미가 어디서 오며 또 그 유의미한 행위에..
대안학교 (Alternative Schools).. 실제로 대안학교란 기존 학교 시스템의 문제점을 극복해 보자는 것이다. 대안교육은은 어떤가? 한국의 기존 교육이 가진 패러다임을 송두리채 바꿀수 있는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이 대안교육이 아닐까?? 이우학교 좋은 연구 과제이다. -- [오늘과 내일/홍찬식]이우학교의 성공 비결 대안학교인 이우학교(이우중고)는 경기 성남시 분당신도시 바로 옆에 있다. 이 학교는 일반 학교에 다니다 적응에 실패한 학생들이 모이는 곳이 아니다. ‘판박이 공교육’ 대신 차별화된 교육을 바라는 학부모들이 자녀를 보내는 곳이다. 학생들의 학력 분포 면에서 인근 학교와 다를 바 없는 ‘정상 학교’이고, 교육열이 높은 고학력 학부모가 많다. 이우학교는 도전정신으로 넘친다. 다른 곳을 놔두고..
- Total
- Today
- Yesterday
- ant
- IS theory
- HR
- 경영전략
- 사상의학
- M&A
- 주식
- 등산
- 교육
- 와인
- 프로젝트 관리
- 태음인
- Social Network Service
- Final Exam
- 조직
- ETF
- 주식투자
- 투자
- 구본형
- 펀드
- 사회연결망
- 책읽기
- 경영
- 프로젝트관리
- 영어
- 영어표현
- SNS
- 공모전
- 논문
- social networ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